학술논문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 해외 사례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International Analysis of Accreditation Policies for Online Learning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엄수정(Sujung Um) 문민지(MinJi Moon) 박수련(Sooryun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2집, 209~23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교육에서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해외 주요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 다. 이를 위해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의 온라인 학습 제도와 운영 현황을 체계적으 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국의 온라인 학습 제도는 교육 선택권 보장이나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과 같은 고유한 정책적 지향을 기반으로 구축되었으며, 공급 주체와 운영 방식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온라인 학력 인정 정책에 대한 여섯 가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온라인 학습 체제의 목적과 방향을 학교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와 연계하여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둘째,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대상 학년, 신청 자격, 교육 기간,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제한, 학습 동기 유지의 어려움 등 비대면 교육의 근본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체계적 방안이 필요하 다. 넷째,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함께 온라인 학습 공급망을 관리할 중간 조직 설립을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학교 안팎의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민간 참여 확대에 따른 교육 격차 심화를 방지하고 모든 학생의 양질의 온라인 학습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investigation sought to analyze the recognition mechanisms for online learning credentials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ross major international jurisdictions to extrapolat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South Korean context. Through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of online learning frameworks and operational paradigms in the United States, Canada, United Kingdom, and France, the study revealed that each nation's online learning infrastructure was predicated upon distinct policy orientations, such as safeguarding educational autonomy or ensuring equitable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ies, with notable variations in delivery mechanisms and operational methodologies. Drawing upon this analytical framework, the study delineates six strategic recommendations for South Korea's online learning accreditation policy. Foremost, the objectives and trajectory of the open online learning framework must be explicitly aligned with the fundamental values inherent in traditional educational paradigms. Second, comprehensive quality assurance parameters must be established, encompassing grade-level eligibility, qualification criteria, duration of instruction, curricular content, and pedagogical and assessment methodologies. Third, systematic interventions are imperative to address the inherent limitations of virtual instruction, particularly regarding teacher-student engagement dynamics and sustained learning motivation. Fourth, concurrent with digit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stablishing intermediary organizational structures for managing online learning supply chains. Fifth,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online platform is essential for cohesive management of diverse learning experiences, both within and beyond traditional educational settings. Finally, institutional safeguards must be implemented to mitigate potential educational disparities arising from increased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while ensuring universal access to high-quality online learning opport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온라인 학습의 학력인정 해외 사례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2집 목차
- 교사의 이직과 경제적 보상: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음이론의 도덕심리학적 해석
- 대학원 전공 이론 수업의 블렌디드 러닝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단기 집중 이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통합사회 과목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도덕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일반고 직업위탁과정 학생을 고려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색
- SNS 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 사용자 관점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 탐색
- 중·고등학생의 플로리시 예측 요인 비교: 성취목표지향성, Big5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비전통적 성인 학습자의 학업중단 및 지속 결정요인: 대학 평생교육 전략을 위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고교 교사 인식 및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2028 대입제도 관련 주요 쟁점 분석
- 국내 IBEC 대학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 시사점 탐구: 교과목 편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 해외 사례 분석
- 장애인 평생학습에 대한 평생학습기관 실무자의 경험 탐색
- 유치원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더십: 유치원 관리자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차별적 검사 기능 분석을 통한 컴퓨터 기반 검사의 양식 효과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