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용자 관점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 탐색
이용수 5
- 영문명
- Explor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User Perspectiv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한수현(Soohyeon Han) 김영실(Youngsil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2집, 335~3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취기준의 사용자인 초·중등 교사들이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이러한 경험이 어떤 요인에서 비롯되는지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성취기준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운영 및 실행에서 성취기준을 활용한 경험이 있는 교직 경력 10년 이상의 초·중등 교사 7명과 성취기준 관련 연구 경험이 있는 교육과정 전문가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였다. 첫째, 성취기준은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과정을 점검하는 지표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교사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양면적 성격을 지닌다. 둘째, 성취기준은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고루 반영하도록 변화되었으나, 실제 활용에서는 지식·이해 범주가 중시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일률적으로 문장 단위로 기술된 성취기준의 형식으 로 인해 내용의 난도와 중요도를 판단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넷째, 교과별로 상이한 영역 및 내용 구성으로 인해 교과 통합형 또는 융합형 수업 설계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 경험들은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보이며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핵심 아이디어 중심의 내용 간소화, 교과별 성취기준 내용의 일관성 확보, 성취기준의 법적 성격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활용 상의 제약과 변화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조망하였으며, 교육과정 의 질 보장과 교사의 자율성 확보를 동시에 고려한 성취기준 개선의 필요성을 실증적 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Korean teachers’ experiences implementing achievement standards, identifies contributing factors, and proposes implications for the standards system, based on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teachers (10+ years in curriculum/implementation) and three curriculum experts. Key findings reveal a duality in the standards: they serve as implementation benchmarks yet constrain teacher autonomy. Despite revisions intended to balance Knowledge/Understanding (K/U), Process/Skills (P/S), and Values/Attitudes (V/A), the K/U domain predominates in practice. The standards’ uniform, sentence-based format complicates judgments of content difficulty and importance. Moreover, structural inconsistencies across subjects hinder integrated lesson design. These challenges largely stem from the standards’ inherent structure. Recommendations involve simplifying standards around core ideas, enhancing cross-subject consistency, and reconsidering their legal standing. Ultimately, this research details the constraints and potential changes linked to the standards’ structure, empirically underscoring the need for refinements that effectively balance curriculum quality assurance with securing essential teacher autonomy.
목차
Ⅰ. 연구의 배경
Ⅱ. 성취기준의 도입과 활용
Ⅲ. 연구 대상 및 절차
Ⅳ. 교사들의 성취기준 사용 경험
Ⅴ. 성취기준의 특성 및 시사점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2집 목차
- 교사의 이직과 경제적 보상: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음이론의 도덕심리학적 해석
- 대학원 전공 이론 수업의 블렌디드 러닝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단기 집중 이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통합사회 과목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도덕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일반고 직업위탁과정 학생을 고려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색
- SNS 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 사용자 관점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 탐색
- 중·고등학생의 플로리시 예측 요인 비교: 성취목표지향성, Big5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비전통적 성인 학습자의 학업중단 및 지속 결정요인: 대학 평생교육 전략을 위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고교 교사 인식 및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2028 대입제도 관련 주요 쟁점 분석
- 국내 IBEC 대학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 시사점 탐구: 교과목 편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 해외 사례 분석
- 장애인 평생학습에 대한 평생학습기관 실무자의 경험 탐색
- 유치원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더십: 유치원 관리자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차별적 검사 기능 분석을 통한 컴퓨터 기반 검사의 양식 효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