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 교사 인식 및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2028 대입제도 관련 주요 쟁점 분석
이용수 39
- 영문명
- Analysis of Key Issues Related to the 2028 College Admission System through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오민아(Min Ah Oh) 강태훈(Taehoon Kang)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2집, 313~33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5학년도부터 고교학점제로 공부하는 고교 1학년 학생들이 대학에 지원 할 때부터 적용될 예정인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가 발표됨에 따라 학교 교육에 충실한 학생들의 유의미한 미래 대비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대입전형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을 대비하여 고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서면 인터뷰와 해외 대입제도 검토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대입전형의 주요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2028 대학입 시제도 개편안에 따른 실제 입시전형의 변화 방향을 예측하고 바람직한 입시제도 정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2028 college admission system, which will be applied to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arting from 2025, there is a demand for new college admission strategies that can effectively guide students who are committed to their school education to prepare meaningfully for the future.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written interviews with high school teachers and reviewed foreign college admissions systems in preparation for the reform of the 2028 college admission system.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analyzed key issues for the future of Korea's college admissions. This analysis aimed to predict the direction of changes in actual admission procedures according to the revised 2028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desirable admiss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2집 목차
- 교사의 이직과 경제적 보상: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음이론의 도덕심리학적 해석
- 대학원 전공 이론 수업의 블렌디드 러닝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단기 집중 이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통합사회 과목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도덕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일반고 직업위탁과정 학생을 고려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색
- SNS 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 사용자 관점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 탐색
- 중·고등학생의 플로리시 예측 요인 비교: 성취목표지향성, Big5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비전통적 성인 학습자의 학업중단 및 지속 결정요인: 대학 평생교육 전략을 위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고교 교사 인식 및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2028 대입제도 관련 주요 쟁점 분석
- 국내 IBEC 대학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 시사점 탐구: 교과목 편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 해외 사례 분석
- 장애인 평생학습에 대한 평생학습기관 실무자의 경험 탐색
- 유치원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더십: 유치원 관리자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차별적 검사 기능 분석을 통한 컴퓨터 기반 검사의 양식 효과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