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이직과 경제적 보상: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9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eacher Turnover and Compens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지현(Jihyun Kim) 배소현(Sohyeon Bae)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92집, 189~2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최근 늘어나고 있는 교사의 이직 문제의 해결 방안을 경제적 보상 의 측면에서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문헌연구 방법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국내의 교사 이직 관련 연구를 종합하고, 그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에 대한 경제적 보상 정책이 이루어져 온 미국의 사례를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문제는 1) 미국에서의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 대한 경제적 지원 정책은 어떻게 실행되었고 어떠한 효과를 거두었는가, 2) 이러한 정책적 결과는 우리나라 교육정책에 어떠한 시사점을 갖는가이다. 이를 통하여 교사의 이직과 경제 적 보상의 관계를 밝히고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한 경제적 보상 정책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주 별로 다양한 방식으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현직교사에 대한 경제적인 보상의 경우 대부 분 교사의 이직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근거하여, 특히 초임교사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 모두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해주는 방안 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potential solutions to the growing issue of teacher turnover by examining it through the lens of economic compensation. Utilizing a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his research integrates the limited body of domestic studies on teacher turnover while drawing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United States, a context in which various economic compensation policies for prospective and in-service teachers have been implemented. The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have economic support policies for prospective and in-service teachers been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and what outcomes have they produced? (2)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se policy outcomes for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The analysis seeks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turnover and economic compensation, while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compensation-related policies aimed at reducing turnover intentions. Findings indicate that, in the United States, states have employed diverse policies to provide economic support to both prospective and in-service teachers. In particular, economic compensation for in-servic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generally positive impact on reducing turnover ra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targeted financial support for novice teachers and proposes a policy framework that includes a standardized provision of financial support to all teachers.
목차
Ⅰ. 머리말
Ⅱ. 교사 공급과 관련된 선행연구
Ⅲ. 미국의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 대한 경제적 지원 정책
Ⅳ. 한국에의 시사점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연구 제92집 목차
- 교사의 이직과 경제적 보상: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기반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과 한계
- 마음이론의 도덕심리학적 해석
- 대학원 전공 이론 수업의 블렌디드 러닝 적용에 대한 인식 연구: 단기 집중 이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교 유형에 따른 구직활동 참여와 진로·직업 인식, 대학생활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역사교육을 위한 디지털 인문학 기반 PBL 모형 제안: 조선시대 강화도 문헌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통합사회 과목 교수 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도덕과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 일반고 직업위탁과정 학생을 고려한 2022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탐색
- SNS 활동 경험이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 사용자 관점에 근거한 성취기준의 구조적 특성 탐색
- 중·고등학생의 플로리시 예측 요인 비교: 성취목표지향성, Big5성격특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비전통적 성인 학습자의 학업중단 및 지속 결정요인: 대학 평생교육 전략을 위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 고교 교사 인식 및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한 2028 대입제도 관련 주요 쟁점 분석
- 국내 IBEC 대학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과 시사점 탐구: 교과목 편성과 운영을 중심으로
- 온라인 학습의 학력 인정 해외 사례 분석
- 장애인 평생학습에 대한 평생학습기관 실무자의 경험 탐색
- 유치원 관리자에게 요구되는 디지털 리더십: 유치원 관리자 초점집단면담을 중심으로
- 차별적 검사 기능 분석을 통한 컴퓨터 기반 검사의 양식 효과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