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에 대한텍스트마이닝 기반 비교 연구

이용수  284

영문명
A Text Mining-Based Comparative Study on the Box Office Success Factors of the Films “Heartsping : Teenineping of Love” and “The Little Mermaid”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홍영미(Young-Mi Hong)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325~34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 TF-IDF, 감성분석, 키워드 중심성 분석을 통해 두 영화의타겟층과 마케팅 전략 차이를 도출하였다. 「사랑의 하츄핑」은 캐릭터 중심 서사와 감성적 메시지(‘사랑’, ‘아이’)를 통해 명확한 타겟층(어린이 및 가족)을 확보함으로써 긍정적인 반응과 안정적인관객 수를 달성하였다. 감성분석 결과, 「사랑의 하츄핑」에서는 총 16,300건(83.19%)의 긍정적인감정이 나타났다. 반면, 「인어공주」는 긍정적인 감정이 9,983건(71.78%)으로 「사랑의 하츄핑」에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사랑의 하츄핑」의 키워드 중심성 분석 결과, 캐릭터(IP)와 연관된 키워드(‘티니핑’, ‘하츄핑’, ‘캐릭터’)가 높은 연결 중심성을 나타냈으며, 「인어공주」는 브랜드 키워드(‘디즈니’, ‘실사’, ‘영화’)가 중심성이 높았지만, 캐스팅 논란 관련 키워드(‘흑인’, ‘논란’) 역시 높은중심성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콘텐츠 타겟팅, 감성 메시지 전달, 논란 관리, 마케팅 전략 차별화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하며,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tilized text mining techniqu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ox officefactors of the movies Heartsping: Teenineping of Love and The Little Mermaid. Through keyword frequency analysis, TF-IDF, sentiment analysis, and keyword centrality analysis, thedifferences in target audience and marketing strategies between the two films were identified. Heartsping: Teenineping of Love achieved a clear target audience (children and families) byfocusing on character-driven narratives and emotional messaging (“love,” “children”), resultingin positive reactions and stable audience numbers. Sentiment analysis revealed 16,300 positiveemotions (83.19%) for Heartsping: Teenineping of Love. In contrast, The Little Mermaidshowed 9,983 positive emotions (71.78%), slightly lower than Heartsping: Teenineping ofLove. Keyword centrality analysis for Heartsping: Teenineping of Love indicated high connectivityfor keywords related to characters (IP), such as “Teenieping,” “Heartsping,” and “character.”In comparison, The Little Mermaid showed high centrality for brand-related keywords(“Disney,” “live-action,” “movie”), but also for controversy-related keywords such as “Black”and “controversy,” reflecting casting debat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tenttargeting, emotional message delivery, controversy management, and differentiated marketingstrategies in film success, while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big data-drivendecision-mak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영미(Young-Mi Hong). (2024).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에 대한텍스트마이닝 기반 비교 연구. 사회과학리뷰, 9 (4), 325-345

MLA

홍영미(Young-Mi Hong). "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에 대한텍스트마이닝 기반 비교 연구." 사회과학리뷰, 9.4(2024): 325-3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