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교사효능감의 관계
이용수 26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Grit, Mindset and Teacher Efficacy of Social Workers working in Community Child Center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박신애(Shin-Ae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147~1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 마인드셋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결과를 토대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불성실한 6명을 제외한 204명의 설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jamovi 2.3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은 마인드셋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의 그릿은 교사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마지막으로 마인드셋 역시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과 마인드셋을 증가시켜 교사효능감을 높여 궁극적으로 아동돌봄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grit, mindset, and teacher efficacy of social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o suggest ways to support them based on the results.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20 social workers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Region J, and 204 questionnaires were finally analyzed, excluding 6 who were unfaithful. For the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jamovi 2.3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it of social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mindset; second, their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and finally, mindse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work interventions that can support community child centers social workers to increase their grit and mindset to increase their teacher efficacy and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s a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문직업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성인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조례 분석
-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엔지니어링 사고 기반 메이커 활동 사례연구
- 장애인의 우울궤적 유형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ed Model)을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범죄 예방 - 평택시 다문화가정 범죄 사례를 중심으로
- RIT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결정변인에 대한 고찰 - F.G.I.기법을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처해 있음과 하이데거의 열어밝혀져 있음의 문제
-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복지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 대상 코딩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제의 핵심어와 언어네트워크 분석 : 2022~2025학년도 시험 중심으로
-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간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에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차이분석
- 스토킹범죄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 연구
-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교사효능감의 관계
- 시설경비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 AI시대 주체성 회복을 위한 영성윤리 연구
- 사회복지사를 위한 죽음과 상실 교육과정 연구
- 노인의 지역사회환경 만족도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사회적 환경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에 대한텍스트마이닝 기반 비교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 고객센터 근무자들의 회복탄력성 측정: 광주지역 고객센터를 중심으로
- 이강율의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쓸쓸한 저녁≫ 에 관한 고찰
-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경찰관의 현장 대응형 집행활동에 관한 연구
-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 연구
-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이 정서문제를 매개로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부모교육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한국창의력교육학회
- 열린부모교육학회
- 한국인사행정학회보
- 한국체육교육학회지
- 교육심리연구
-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23 한국생활과학회 학술대회
- 교류분석상담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 한국웰니스학회지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대한무도학회지
-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인문사회21
- 2020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 한국사회복지 교육
- 한국사회복지교육
- 한국보육학회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산업진흥연구
- 한국체육과학회지
- 한국체육과학회지
-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교육심리연구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청소년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 교육학회
- 한국교육치료학회
- 한국 유아교육학회
- 한국아동교육학회
-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 Ph.D. Dissertation, Oklahoma State University
-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Philadelphia: Thylor and Francis
- European Proceedings of Health
-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 The Rand Paper Series
- New York: McGraw-Hill Education
- New Ideas in Psychology
- Ph.D. Dissertation, Saint Peter's University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