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객센터 근무자들의 회복탄력성 측정: 광주지역 고객센터를 중심으로
이용수 299
- 영문명
- Measuring the Resilience of Customer Center Workers : Focusing on Customer Center in Gwangju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박득(Deuk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365~3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객센터 근무자들은 하루에도 수십 건의 전화나 메시지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고객을 상대하는 감정노동 및 반복작업, 대기 중인 상담을 신속히 처리해야 하는 높은 업무 강도 및 스트레스로업무 특성상 회복탄력성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센터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신우열 외(2009)의 YKRQ-27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회복탄력성을 측정하는9개의 요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고, 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그룹 간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회복탄력성 측정 결과, 참여자들의 회복탄력성은 80점 이하 14%, 81~107점 59%, 108점 이상27%로 나타났으며, 조사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그룹 간 평균의 차이는 연령과 최종학력, 직급, 결혼여부에 있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검증의 결과 연령의 30대와 40대, 직급의 상담사와 관리자에 대해서만 평균값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고객센터 근무자들의 회복탄력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회복탄력성의 요인별 어떤 요인이 더 높고, 낮은지, 그리고, 성별, 연령, 학력, 근속년수, 직급, 결혼여부에 따라 회복탄력성 정도를 파악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Customer service employees face high levels of emotional labor and repetitive tasks, handling dozens of calls and messages daily from various types of customers. Theymust also process pending inquiries quickly, leading to intense work demands and stress. Given these job characteristics, resilience is a critical factor for their well-being andperformanc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level of resilience among customer serviceemployees using the YKRQ-27 developed by Shin et al., (2009). Resilience was measuredacross nine factors, and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based on participants' demographic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14% of participants scored 80 orbelow, 59% scored between 81 and 107, and 27% scored 108 or above. Significantdifferences in resilience scores were observed based on age, highest educational attainment,job position, and marital status. Post hoc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differences wereparticularly significant between employees in their 30s and 40s and between counselors andmanager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al understanding of resilience levels amongcustomer service employees, identifying key factors influencing resilience and variations basedon 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serve as valuable baseline datato inform strategies for improving resilience in this workfor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문직업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성인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조례 분석
-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엔지니어링 사고 기반 메이커 활동 사례연구
- 장애인의 우울궤적 유형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ed Model)을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범죄 예방 - 평택시 다문화가정 범죄 사례를 중심으로
- RIT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결정변인에 대한 고찰 - F.G.I.기법을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처해 있음과 하이데거의 열어밝혀져 있음의 문제
-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복지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 대상 코딩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제의 핵심어와 언어네트워크 분석 : 2022~2025학년도 시험 중심으로
-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간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에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차이분석
- 스토킹범죄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 연구
-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교사효능감의 관계
- 시설경비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 AI시대 주체성 회복을 위한 영성윤리 연구
- 사회복지사를 위한 죽음과 상실 교육과정 연구
- 노인의 지역사회환경 만족도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사회적 환경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에 대한텍스트마이닝 기반 비교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 고객센터 근무자들의 회복탄력성 측정: 광주지역 고객센터를 중심으로
- 이강율의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쓸쓸한 저녁≫ 에 관한 고찰
-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경찰관의 현장 대응형 집행활동에 관한 연구
-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 연구
-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이 정서문제를 매개로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상담학연구
- 직업건강연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인문사회21
- 한국신학기술학회논문지
- 동아법학
- 한국청소년연구
- 한국데이터분석학회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경영컨설팅연구
- 생물치료정신의학
- 한국청소년연구
- 대한경영학회
- Ar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 Washington, DC NASW Press
- Psychiatry
- The Magazine of Economic Performance
- I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 Journal of Management
- Child Development
-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Adventure Education and Outdoor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