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간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에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차이분석
이용수 29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e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care Teachers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Educational Needs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효원(Hyo-Won Kim) 윤수진(Soo-Jin Yoon)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127~1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미래유아교육을 위해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원 교사 74명과 어린이집 교사 64명 총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중요도-실행도 차이 분석, The Locus Focus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는 모두 핵심역량의 중요도에 비해 실행 수준은 낮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는 공통적으로 영유아 이해 및 지도, 교직인성과 관련된 핵심역량에 대한교육요구도가 높았다. 그 외에 유치원교사는 영유아 교육과정 운영 및 평가와 교사 전문성 개발에보다 우선순위를 둔 반면, 보육교사는 유아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역량(놀이지원, 교수학습과정)보다는 교직인성과 학급경영에 우선순위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유보통합을 위한 통합유아교사 양성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and educational nee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To this end,a total of 138 kindergarten teachers and 64 daycare center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urveyed to analyze thedifference in importance-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recognizedthat the level of implementation was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core competencies. Second,kindergarten teachers and childcare teachers had high educational needs for core competenciesrelated to infant understanding and guidance and teaching personality traits. In addition,kindergarten teachers prioritized the operation and evaluation of infant curriculum and teacherprofessional development, while childcare teachers prioritized teaching personality and classmanagement rather than the ability to implement early childhood curriculum (play support,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for fostering integrated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developing a curriculum for retentionintegration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문직업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성인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조례 분석
-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엔지니어링 사고 기반 메이커 활동 사례연구
- 장애인의 우울궤적 유형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ed Model)을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범죄 예방 - 평택시 다문화가정 범죄 사례를 중심으로
- RIT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결정변인에 대한 고찰 - F.G.I.기법을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처해 있음과 하이데거의 열어밝혀져 있음의 문제
-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복지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 대상 코딩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제의 핵심어와 언어네트워크 분석 : 2022~2025학년도 시험 중심으로
-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간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에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차이분석
- 스토킹범죄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 연구
-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교사효능감의 관계
- 시설경비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 AI시대 주체성 회복을 위한 영성윤리 연구
- 사회복지사를 위한 죽음과 상실 교육과정 연구
- 노인의 지역사회환경 만족도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사회적 환경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에 대한텍스트마이닝 기반 비교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 고객센터 근무자들의 회복탄력성 측정: 광주지역 고객센터를 중심으로
- 이강율의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쓸쓸한 저녁≫ 에 관한 고찰
-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경찰관의 현장 대응형 집행활동에 관한 연구
-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 연구
-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이 정서문제를 매개로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