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이용수 306
- 영문명
- Changes and Difficulties in Play Support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김정희(Jung-Hee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297~3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서 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을 이해하고 놀이지원을 위해 요구되는 것을 살펴보기 위함이 목적이다. 서울·경기도 사립유치원교사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첫째,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서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를활동중심에서 놀이중심, 의도된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 주도의 자유놀이시간, 주제중심에서 흥미중심, 교육과정 실행자에서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서 경험한 놀이지원의 어려움에는 안전과 놀이 사이 불안감, 사회 및 학부모의 요구와 상충 되는 갈등, 초등학교에서의 적응과 연계 속의 불안감, 진짜 놀이와 놀이의 허용 범위에대한 모호함, 제도적 원인으로 인한 어려움, 기관·교사의 역량에 따라 다른 교육과정에 대한 부담감, 새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식하였다. 놀이중심 개정 누리과정이 현장에 정착되기위한 지원과 요구는 무엇인지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difficulties of play support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examine what is required for teachers' play support. Accordingly, five teachers from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changes in play suppor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rom activity-centered to play-centered, from the teacher's intended free-choice activities to children's free-play time, from subject-centered to interest-centered, and from curriculum implementers to a curriculum created with children.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cluded anxiety between safety and play, conflict felt in the curriculum that conflicts with the needs of society and parents, anxiety felt in connection with adaptation in elementary school, ambiguity about the allowable range of real play and play, difficulties caused by institutional causes, the burden on the curriculum, and fear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Reflecting this result, it was suggested what support and needs are needed for the play-centered revised Nuri curriculum to be settled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문직업성과 셀프리더십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성인발달장애 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충청남도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조례 분석
-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엔지니어링 사고 기반 메이커 활동 사례연구
- 장애인의 우울궤적 유형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ed Model)을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범죄 예방 - 평택시 다문화가정 범죄 사례를 중심으로
- RIT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결정변인에 대한 고찰 - F.G.I.기법을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처해 있음과 하이데거의 열어밝혀져 있음의 문제
-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복지 현황 및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 대상 코딩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공립 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 교직논술 문제의 핵심어와 언어네트워크 분석 : 2022~2025학년도 시험 중심으로
-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 간의 유아교사 핵심역량에대한 인식과 교육요구도 차이분석
- 스토킹범죄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 연구
-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그릿과 마인드셋 및교사효능감의 관계
- 시설경비원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
- AI시대 주체성 회복을 위한 영성윤리 연구
- 사회복지사를 위한 죽음과 상실 교육과정 연구
- 노인의 지역사회환경 만족도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사회적 환경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 영화 「사랑의 하츄핑」과 「인어공주」의 흥행 요인에 대한텍스트마이닝 기반 비교 연구
-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 고객센터 근무자들의 회복탄력성 측정: 광주지역 고객센터를 중심으로
- 이강율의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쓸쓸한 저녁≫ 에 관한 고찰
- 1인 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주관적 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경찰관의 현장 대응형 집행활동에 관한 연구
- 비행청소년의 정신건강 수준에 따른발테그 그림검사(WZT) 반응특성 연구
- 고등학생의 학교적응이 정서문제를 매개로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