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이용수  306

영문명
Changes and Difficulties in Play Support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정희(Jung-Hee Kim)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4호, 297~32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서 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을 이해하고 놀이지원을 위해 요구되는 것을 살펴보기 위함이 목적이다. 서울·경기도 사립유치원교사 5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첫째,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서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를활동중심에서 놀이중심, 의도된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 주도의 자유놀이시간, 주제중심에서 흥미중심, 교육과정 실행자에서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개정누리과정 실행에서 경험한 놀이지원의 어려움에는 안전과 놀이 사이 불안감, 사회 및 학부모의 요구와 상충 되는 갈등, 초등학교에서의 적응과 연계 속의 불안감, 진짜 놀이와 놀이의 허용 범위에대한 모호함, 제도적 원인으로 인한 어려움, 기관·교사의 역량에 따라 다른 교육과정에 대한 부담감, 새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식하였다. 놀이중심 개정 누리과정이 현장에 정착되기위한 지원과 요구는 무엇인지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difficulties of play support experienced by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examine what is required for teachers' play support. Accordingly, five teachers from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result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recognized the changes in play support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 curriculum from activity-centered to play-centered, from the teacher's intended free-choice activities to children's free-play time, from subject-centered to interest-centered, and from curriculum implementers to a curriculum created with children.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uri curriculum included anxiety between safety and play, conflict felt in the curriculum that conflicts with the needs of society and parents, anxiety felt in connection with adaptation in elementary school, ambiguity about the allowable range of real play and play, difficulties caused by institutional causes, the burden on the curriculum, and fear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Reflecting this result, it was suggested what support and needs are needed for the play-centered revised Nuri curriculum to be settled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희(Jung-Hee Kim). (2024).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사회과학리뷰, 9 (4), 297-324

MLA

김정희(Jung-Hee Kim).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 과정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한 놀이지원의 변화와 어려움." 사회과학리뷰, 9.4(2024): 297-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