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의 교수적 수정 사례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methods and exampl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of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서유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135~16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의 교수적 수정을 제공하고 있는 초등학교 통합교사 14명을 면접하여, 이 교사들이 실제 통합 수학수업에서 적용하고 있는 교수적 수정의 영역, 방법과 그 구체적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 교수목표와 내용면에서 교사들은 일반학생들의 학습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교수하고 있었지만, 학습목표를 수정하고 학습내용의 난이도와 학습량 조절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수업을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교수집단 면에서 교사들은 모둠별 협동수업을 많이 진행하며, 모둠별 협동수업의 진행이 어려울 경우에는 또래수업과 개별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교수방법 면에서는 교사들은 수학학습에 효과적인 구체물이나 반구체물을 이용하고, 현실상황을 반영한 문제와 게임을 통해, 모델링, 피드백 등을 제공하며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가 면에서 평가시간, 난이도, 문항 수 조절 등을 통한 평가수정과 대안적인 평가방법들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의 교수적 수정 영역, 방법, 그 사례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고, 통합학급 교사들에게 교수적 수정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공유할 수 있어, 장애학생을 위한 의미있는 통합교육을 실천하는데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교수적 수정의 활성화를 위한 차기연구의 방향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Given tha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been emphasized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over the past decades, this study investigated specific methods and exampl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mathematics by interviewing 14 general education teachers who provided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rovided the same instruction content as one for general education students but they adapted instructional levels and amounts of instruction based on the performance level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teachers preferred small group instruction to peer instruction or one-to-one instruction. Third, the teachers often used a variety of manipulatives and representations and provided contextualized and game-type problems through modeling, problem-solving examples, feedback, and reinforcements. Lastly, the teachers adapted the assessment in terms of the its level, time, and number of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ndamental information of how to provide instructional adaptations in mathematics might be collected, established, and shared with teachers who sought to find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ir inclusive education classroom.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유진. (2010).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의 교수적 수정 사례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2 (1), 135-161

MLA

서유진.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의 교수적 수정 사례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2.1(2010): 135-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