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율성지지에 기반을 둔 통합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기본 심리적 욕구와 정서·행동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Autonomy Support Intervention Implemented in Inclusive Physical Activity 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Behavioral- Emotional Engag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천승현 이영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01~2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습활동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촉진시키고, 동기부여와 참여를 도모하기 위해 TARGET 모형을 토대로 자율성지지에 기반을 둔 신체활동 중재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방과 후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27명의 학생이었고 이중 4명이 장애학생이었다. 학교 수준의 무선배치를 통해 15명(장애학생 2명 포함)의 학생이 실험집단에, 12명(장애학생 2명 포함)의 학생이 통제집단에 배치되었다. 중재집단의 학생들은 자율성지지에 기반을 둔 통합체육활동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의 학생들에게는 교사에 의해 미리 계획된 순환활동 위주의 체육활동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율성지지 학습환경, 관계성, 즐거움-재미 영역에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자율성지지에 기초한 통합체육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험은 다음과 같이 범주화될 수 있다: (1) 관계성지지 경험, (2) 장애학생들의 통합체육 활동에서의 수행에 대한 유능성 향상, 그리고 (3) 비장애 학생들의 장애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긍정적 인식 증가.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e autonomy support provided by teachers is becoming more prevalent to promote students engaging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4-week AGE program implemented in inclusive physical activity, which is based on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autonomy,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engagement. The sample comprises of 27 students enrolled after-school physical activity program. 4 students out of 27 had mid disabilitie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sample t-tests and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d that AGE program did impact students' autonomy, relatedness, and enjoyment. From the qualitative analyses, 3 themes emerged: (1) experiencing relatedness support, (2) improving performance effica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3) increasing perceptions of cap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mplica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의 교수적 수정 사례분석
- 장애학생지원센터 수화통역사의 수화언어 동시통역 과정 분석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 유형 분석
- 쓰기부진 학생의 철자쓰기 특성과 중재에 관한 이론적 접근
- Reduction of Self-Stimulatory Behaviors of Young Individual with Autism Using Automatic Reinforcers
- 장애학생의 성행동 문제 유형 분석
-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목차
-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한 스트레스 표현 행동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 장애유형별 장애또래에 대한 유아의 인식
- Eye Movements Process in Viewing Captioned TV Program in Students with Severe Hearing Impairments
- 자율성지지에 기반을 둔 통합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기본 심리적 욕구와 정서·행동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인공와우 착용기간에 따른 영유아의 청각적 인지능력 변화
- 통합교육을 위한 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