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이용수  0

영문명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evaluation of student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observation and portfolio assessment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정현영 정은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23~2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실태를 알아보고자 수행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와 J도 지역 특수학급 교사 전체 129명이다. 설문지는 2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129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그 가운데 101부(78.3%)가 회수되어 손상된 3부를 제외한 98부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관찰법과 포트폴리오방법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실행상의 어려움으로 체계적인 평가체제의 미비를 들고 있으며, 다양한 평가도구와 실행을 위한 연수의 필요성을 요구하였으며, 업무과다와 시간부담 등으로 평가기록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찰법은 문제행동 관리와 IEP계획과 학생배치 등 특수교육서비스 초기단계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에 사용되고 있었다. 포트폴리오 방법은 주로 교과영역 평가에 사용되고 있었으며, 교실에 비치되어 학부모 및 가정연계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학생의 변화과정을 통해 강/약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교사에게는 교육과정 수정 및 교수-학습 환경조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evaluation of students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ased on observation and portfolio assessment. It interview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middle schools in Gwangju and Jeonnam using a questionnaire sent on mail or e-mail and analysed 98 copies of the answers for the study. According to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84.7% of the subjects used observation for evaluation, but its implementation was difficult because of poor evaluation system. The most of the subjects recorded anecdotes they observed mainly to identify problematic behaviors and attitudes of the students of special education. They evaluated them according to goals of individualized educational program and each learning activity, but most of them were evaluated by autonomous judgement of teachers. For observation, the subjects recorded what they observed in evaluation of IEP or their own observation journals. They exchanged information on students with parents or guardians through phone calls or interviews and provided connected guidance with them. Secondly, 83.7% of the subjects provided portfolio assessment, but like observation, evaluation system was not organized. The portfolio assessment was used to evaluate subjects such as Korea or math. The portfolio was publicly displayed in classrooms to parents in public meetings or conferences and sent to each family with teachers' comments recorded for continuous instruction. Observation and portfolio systems can be helpful to students' own identification of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rough developmental process, in inducing their motivation and enhancing their self-esteem. For teachers, they can be effectively used for revision of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Therefore, we ne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develop evaluation systems with which individual students can be evaluated in an organized way and have more opportunities of training and practical efforts to apply the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영,정은희. (2010).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특수아동교육연구, 12 (1), 223-248

MLA

정현영,정은희.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특수아동교육연구, 12.1(2010): 223-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