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 유형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Subjectivity Study on th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n the Inclus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조연오 한경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85~30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유형을 주관성 연구방법(Q방법론)에 의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남에 위치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 28명이었으며, 통합교육에 대하여 교사들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유형을 분석한 결과 3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세 유형 중 1유형이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들의 태도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었다. 각 유형별 교사들의 답변에 대하여 긍정적 동의와 부정적 동의를 보인 진술문과 개인별 의견을 토대로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하여 명명화 하였으며, 유형별 차이와 특수교육에의 함의점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pattern on th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n the inclus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Q-methodology was used for research because this method is useful for analyzing subjectivity like as individual value, attitude, belief and image. The Q-population of this study was 38 units got from previous study and P-sample was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orking in Gyeongnam province. The analyzing population were 28 that is, female 24 and male 4. As a result of analyze, th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on the inclus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constituted in 3 types. The first type was labeled the ideational affirmative type. They show neutral attitude toward the overall inclusive education. The second type was labeled the negative confrontation type. They thought inclusion is meaningless in the special children or the general children. They show the most negative attitude, as they should need more patience and spend much more time in special education. The third type was labeled the practical confrontation type. They considered that the inclusion is very important factor, but, in fact, improving and developing instructor's teaching skills and abilities, with the conditions surround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re the most vital elemen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연오,한경임. (2010).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 유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2 (1), 285-306

MLA

조연오,한경임.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 유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2.1(2010): 285-3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