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의 성행동 문제 유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exual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pecial School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영종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2권 제1호, 249~26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등부 정신지체 학생 및 뇌성마비 학생을 중심으로 장애 학생의 성행동 문제 유형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성행동 문제의 출현율은 27.81%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다른 사람을 무분별하게 만지거나 껴안기 행동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남학생은 성인용 잡지나 음란물 탐닉, 타인의 성적 요구에 거부하지 않고 응하기 등의 행동이, 여학생은 성행위 흉내 내기, 다른 사람의 생식기 만지기 등의 행동이 각각 다른 이성에게는 표출되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다른 사람을 무분별하게 만지거나 껴안기 행동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학생은 생식기 노출 행동이, 고등학생은 이성의 화장실 출입 행동이 각각 다른 학교과정 학생에게는 표출되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신지체학생과 뇌성마비학생 모두 다른 사람을 무분별하게 만지거나 껴안기 행동이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정신지체학생은 생식기 노출, 타인의 성적 요구에 거부하지 않고 응하기 행동이, 뇌성마비학생은 성인용 잡지나 음란물 탐닉, 이성의 화장실 출입 행동이 각각 다른 장애유형 학생에게는 표출되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경도 학생은 이성의 가슴 만지기가, 중증 학생은 공공장소에서의 자위행위가 각각 가장 많은 성행동 문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경도 학생은 타인의 성적 요구에 거부하지 않고 응하기, 성인용 잡지나 음란물 탐닉 행동이, 중증 학생은 공공장소에서 옷 벗기, 생식기 노출이 각각 다른 장애유형 학생에게는 표출되지 않는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장애학생의 성행동 문제의 전반적 서열은 다른 사람을 무분별하게 만지거나 껴안기, 공공장소에서의 자위행위, 이성의 가슴 만지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애 학생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xual behavior proble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pecial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appearance rate of sexual behavior problem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pecial school was 27.81%; Second, the best frequent sexual problem behavior was indiscreetly touching or embracing others, which was commonly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distinctive behaviors of 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dulging pornography and accepting another's sexual demands. The distinctive behaviors of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mitating sexual behavior and touching the sexual organs of others. The best frequent sexual problem behavior was indiscreetly touching or embracing others, which was commonly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distinctive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xposing sexual organ. The distinctive behavior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ntering opposite sex toilet. The best frequent sexual problem behavior was indiscreetly touching or embracing others, which was commonly in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 distinc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as exposing sexual organ and accepting another's sexual demands. The distinctive behavior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was indulging pornography and entering opposite sex toilet. The best frequent sexual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was touching the breast of opposite sex. The best frequent sexual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as masturbating in public; Third, the frequent rank of sexual problem behavior in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discreetly touching or embracing others, masturbating in public, and touching the breast of opposite sex.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velop sex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수학교과의 교수적 수정 사례분석
- 장애학생지원센터 수화통역사의 수화언어 동시통역 과정 분석
-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관찰법과 포트폴리오 평가 실태
-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태도 유형 분석
- 쓰기부진 학생의 철자쓰기 특성과 중재에 관한 이론적 접근
- Reduction of Self-Stimulatory Behaviors of Young Individual with Autism Using Automatic Reinforcers
- 장애학생의 성행동 문제 유형 분석
-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2권 제1호 목차
- 통합촉진을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효과
-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한 스트레스 표현 행동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 장애유형별 장애또래에 대한 유아의 인식
- Eye Movements Process in Viewing Captioned TV Program in Students with Severe Hearing Impairments
- 자율성지지에 기반을 둔 통합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기본 심리적 욕구와 정서·행동적 참여에 미치는 효과
- 인공와우 착용기간에 따른 영유아의 청각적 인지능력 변화
- 통합교육을 위한 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