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Examining Students' Draw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Measuring Disability Awarenes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수연 이대식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363~39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그림검사에 나타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림검사지와 검사지침을 개발하고, 이에 따라 1-4학년 초등학생 202명에게 떠오르는 대로 장애인을 그리고 간략한 설명을 쓰게 하였다. 아동들이 그린 장애인 그림을 내용분석하기 위해 약호화를 개발하고 주제별 분류를 하였다. 분류된 주제는 총 10가지로 제시되었다: 1)병을 앓고 있는 환자, 2)돌봄 및 도움의 수혜자, 3)놀림의 대상, 4)괴물 이미지, 5)왜곡되거나 중첩된 부정적 이미지, 6)장애의 사실적 묘사, 7)독립적인 모습, 8)일상의 모습, 9)타인과의 상호작용 모습, 10)개인적 관계의 장애인. 1)번에서 6)번까지는 의학적 모델에 의거한 장애인관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절반 이상의 그림에서 의학적 관점이 드러났다.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장애인의 모습 중에서 가장 많은 이미지는 링거를 꽂고 깁스를 한 채 병원에 입원해있거나, 목발 또는 휠체어 탄 장애인과 그 장애인의 가방을 들어주거나 휠체어를 밀어주며 도와주는 사람이 함께 있는 것이었다. 소수이지만 장애인이 독립적으로 일상의 삶을 살거나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의 그림도 나타났다. 일반학생들의 올바른 장애인식 변화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ut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rawing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measuring any change in disability awareness as a result of a disability-awareness program.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a picture test format and a manual, and administrated the tool to 20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se grades ranged 1 to 4. Students were asked to draw any person with disabilities came across their mind, with a brief description of the person. Students' drawings were categorized as the following 10 categories: 1) a patient with diseases, 2) a beneficiary who needs caring or help, 3) a target for jeering at, 4) a monster, 5) an image distorted or complicated negatively 6) objective descriptions of disability or impairment, 7) a self-independent image, 8) an ordinary person, 9) a person interacting with others, 10) a person with disabilities whom a student knows personally. Categories 1 through 6 can be labeled as a medical model driven view on people with disabilities. More than half of students' drawings were belonged to this view. The most frequent imag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eople, hospitalized being put intravenous tubes or wearing plaster cast, or disabled people standing with healthy people helping them by carrying bags or pushing a wheelchair. However, although the number was small, some drawings showe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independently live or interact with their neighbors. The effective ways to change students' disability awareness we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연,이대식. (2011).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 (2), 363-391

MLA

김수연,이대식.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2(2011): 363-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