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mothers on the stress of the mothers of the children by four categories of th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류경희 한경임 이형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437~4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각, 정신지체,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의 4영역 별로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 아동과 어머니 특성 변인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336명이었다.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장애원인, 장애정도, 어머니의 직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녀의 장애원인이 임신 중 장애일 경우가 유전적 요인이 원인인 경우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낮았다. 또한 장애정도가 가벼운 경우 보다는 ‘심하다’의 경우에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어머니의 직업이 전문관리직인 경우가 전업주부의 경우보다 스트레스가 낮았다. 2.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장애원인, 부모의 한 달 평균 수입이었다. 즉 자녀의 장애원인을 모르는 경우가 유전적 요인이 원인인 경우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부모의 한 달 평균 수입이 400만원 이상인 경우가 100만원 미만의 경우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낮았다. 3. 지체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학교급별, 어머니의 연령, 부모의 한 달 평균 수입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부와 중등부의 지체장애아동이 있는 경우가 유치부의 경우보다 스트레스가 낮았고, 어머니의 연령이 40세 미만보다는 40세 이상의 경우에 스트레스가 낮으며, 부모의 한 달 평균 수입이 100-200만원 미만의 경우와 200-300만원 미만의 경우가 100만원 미만의 경우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높았다. 4. 정서‧행동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장애 정도, 어머니의 직업, 어머니의 종교로 나타났다. 즉, 아이의 정서장애 정도가 심한 경우가 가벼운 경우보다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사무직에 종사하는 경우가 전업주부에 비하여 스트레스가 낮았고, 종교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오히려 스트레스가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family background on the mothers' stres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disabilities(visual impairment,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sability and emotional/behavior disorders). The subjects were 336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of mothers with visually impaired children was affected by the following three variables: the cause of the disabilities, the degree of the disabilities, and the mother's occupation. The stress of mothers was lower in the case when the children's disabilities were caused by 'pregnancy disorder' than when it was caused by 'genetic factors'. The stress of mothers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 degree of the children's disabilities were 'serious' than 'not serious'. The stress of mothers who work as professional managers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s who are housewives. Second, the stress of mothers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was affected by the following two variables: the cause of disabilities and monthly income of the parents. The stress of mothers was higher in the case when the children's mental retardation was caused by 'cause unknown' than when it was caused by 'genetic factors'. The stress of mothers with monthly income of more than four million won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s with less than one million won. Third, the stress of mothers with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was affected by the following three variables: the grade level of the children at schools, mother's age, and monthly income of the parents. The stress of mothers wi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was lower than those with preschool children. The stress of mothers of 40 years of age or older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s of less than 40 years of age. The stress of mothers with monthly income of 1∼2 million won and 2∼3 million won was higher than those with less than one million won. Fourth, the stress of mothers of emotionally disturbed children was affected by the following three variables: the degree of disabilities, mother's occupation, and mother's religion. The stress of mothers was found to be higher when the degree of the children's emotional disturbance was 'serious' than 'not serious'. The stress of mothers who work as office employees was lower than that of mothers who are housewives. The stress of mothers who have a religion was higher than that of mothers who do no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