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language teaching-learning guide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상희 박미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175~19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장애 학교에서의 국어과 지도의 실태를 조사하고,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교수-학습 자료에 대한 요구,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과 교과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제안과 요구를 파악하여 교수-학습전략의 개발 방향을 살펴보고,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유‧초‧중‧고등부 담임교사 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각장애학생에게 효과적이고 개별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전략을 제공하여야하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사용 학습 자료와 청각장애학생에게 적절한 교수전략 및 교수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교수전략 및 학습자료 개발 방향에 대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청각장애학생에게 적합한 국어과의 각 영역별 내용과 연계된 수준 별 교수 전략 및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연구가 추후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With investiga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language teaching-learning and necessary materials for it and suggestions by teachers involved in schools for the deaf, this paper focuses on establishing desirable guidance to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strategy and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it as well. For this, 34 teachers responsible for students whose age is ranged from about 4 years old to 18 years old at schools for the deaf have been given a questionnaire survey. From the resul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students at each level are needed and systematic and concrete learning materials for teachers should also be required. Besides, the result shows that proper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such study result, some suggestions for language teaching strategy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for deaf students are provided. And follow-up studies for this will be continu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