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K-ABC and K-SIB-R Results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승희 박원경 박찬영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45~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의 하위요소에 대한 결과와 두 검사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산과 대구 지역에 거주하며 치료실을 이용하고 있는 만 2세부터 만 12세 5개월까지의 정신지체아동 176명을 대상으로 K-ABC와 K-SIB-R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K-ABC와 K-SIB-R의 하위요소에 대한 정신지체아동의 검사결과는 성별과 연령 집단별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또한 두 검사의 하위요소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두 검사 도구는 정신지체아동 판별에 타당하며, 검사에 대한 결과들을 교육적 지원 등의 활용에 가능하다는 것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mpared and analyzed that Korean K-ABC and K-SIB-R results for sub-element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ests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The K-ABC and K-SIB-R were examined for 176 mental retarded children who were 2 year to 12 years 5months and were studying at clinics in Busan and Daegu.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results of the subtests in the K-ABC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were no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age; (b) the corellation of the subtests of the K-SIB-R was validated to test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and (c) the correlation between K-ABC and K-SIB-R was meaningful, however the correlation of the K-ABC and the inappropriate test which was a part of the K-SIB-R was not suitable statistically. This study concluded that both of the two tests, K-ABC and K-SIB-R had to be tested to get validation to diagnosis and evaluation for mental retarde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