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experiences of Service-learn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f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Constant Comparative Method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조재현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415~43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근래 통합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예비초등교사들이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아동을 지도할 때 필요한 실천적 지식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교육현장의 요구가 있음에도, 현실적으로 예비초등교사들이 장애아동에 관한 실천적 지식을 획득할 현장경험의 기회는 대단히 제한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봉사학습 경험에 근거한 반성적 글쓰기가 장애아동 지도에 필요한 예비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증가시키려는 교사교육 방법으로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려는데 있다. 연구는 전북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에서 ‘특수아동의 이해’를 수강하고 장애아동에 대한 봉사학습을 병행 중인 2학년 학부생 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최초 74명의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봉사학습일지와 봉사학습 최종보고서를 분석한 후, 최종 8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2차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1,2차에서 얻은 자료를 지속적 비교법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전체 172개의 개념과 4개의 반성유형이 도출되었다. 발견된 반성유형은 1)지향점이 실천된 반성, 2)지향점이 제시되고 실천이 유보된 반성, 3)지향점이나 예정된 실천이 없는 반성, 4)지향점과 실천연계가 변화하는 반성이었으며 각각 장애아동 지도와 교사전문성 증진과 관련하여 1)역동적, 2)심층적, 3)표면적, 4)지향적 반성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성유형과 반성특성 간의 관계를 장애아동 지도 및 예비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creasingly general education pre-service teachers are expected to be equipped with practical knowledge of exceptional learners in inclusive education. Faced with an intensive urge in the educational community, the field experience opportunity available to the pre-service teachers is very limited. An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teaching tool for service-learning and reflective writing experience. This study explored service- learning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in general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Participants were 8 teacher candidates who took an introductory leveled special education class in a teacher's college. The service-learning was implemented in inclusive classrooms and community settings. Reflective journals and final papers were written by the pre-service teachers during and after the service learning. Data were collected from reflective journals, and observations, in the-depth interviews with the selective 8 pre-service teachers in the service learning. The data were open coded and analyzed with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data presented 172 concepts in the open-coding to be narrowed to four themes; This study analyzed to categoriz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s into four themes; 1) reflection in-practice, 2) reflection to be practiced, 3) reflection with suspension of practice, and 4) reflection with varied practice points. Each category provided the teaching implica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1) dynamic, 2) in-the-depth, 3) surfacing, and 4) oriented-thinking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in inclusiv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재현. (2011).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 (2), 415-436

MLA

조재현.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2(2011): 415-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