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xperiences of Transition to Inclusive Kindergarten and Demands o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한민경 이미숙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237~26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장애유아의 유치원통합교육으로의 전이과정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8명의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질적연구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육기관’에서 ‘일반유치원’으로의 전학 이유는 1) 다른 장애유아의 행동 모방에 대한 불안함 2) “장애” 라는 편견에서 벗어나기 3) ‘사회성’발달에 대한 기대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환경으로서 일반 유치원 선택기준으로는 1) ‘종교’ 기관에 의해 운영되는 통합 유치원 2) 재원하는 유아가 적은 통합 유치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 유치원으로의 전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1) 새로운 상황의 적응과정에서 장애유아의 어려움 2) 통합유치원 교사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어려움으로 밝혀졌다. 특히, 교사와의 관계에서 1) 장애유아의 능력에 한계를 규정짓는 교사 2) 장애유아에 대한 부모의 요청을 잘 받아들이지 못하는 교사 3) 장애유아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칭찬만 하는 교사와의 관계맺음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마지막으로, 유치원통합교육에 대한 장애유아 어머니들의 요구분석 결과, 1) 부모와 교사와의 열린 상담 2) 통합유치원 교육과 치료지원기관과의 연계 및 협력지도에 대한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seek to th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early childhood inclusion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s of transition to integrated kindergarten fo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demands on the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included eight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has attended to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ettings were participated and interviewed. The meanings of maternal experiences would b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six sub-themes by the procedure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First, the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chosen inclusiv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ith the belief that inclusive institutions was good school for their children to avoid prejudice on disabilities. Second, the mothers were prefer to the early childhood inclusion settings providing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safe for their children. Third, the mother has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general schools to inclusive settings. Forth, the mothers felt that during children were attending to inclusive institutions, their children began to being recognized and accepted as friends from their peers. Fifth, the mothers had ambivalent feelings to teachers, guilty, appreciation, and disappointment. And lastly, the mothers have strong demands on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Specifically,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eachers' open-mindness toward disabilities and inclusive education. Further, the mothers asked for more frequent and comfortabl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