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in Classroom for the Children with ADHD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명숙 유은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213~23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대상으로 자기점검법을 적용하여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 대상 연구로 2명의 ADHD 아동에 대해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법을 사용하여 문제행동 발생률과 학업관련 참여행동 발생률을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로 나누어 그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재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기점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24회기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법은 대상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점검법을 통해 나타난 학급 내에서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업관련 참여행동의 증가가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문제행동을 보이는 ADHD 아동의 학업관련 참여행동을 증가시키는데 자기점검법이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ADHD 아동 개개인의 문제행동 특징을 잘 파악하여, 자기점검법 절차에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것이 ADHD 아동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과 중재에 따른 행동 변화가 가정에서도 일반화가 이루어진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ho have ADHD and the maintenanc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ADHD were selected. The research design was applied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self-monitoring activity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ubjects.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of the students. Second,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Third, the effect on the decrease of the problem behavior and the increase of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were still maintained after intervention was ended. In conclusion, the self-monitoring activity was one of the effective strategies for increasing the task engagement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ADHD who has problem behavior. Therefore, this result implies that self-monitoring activity with visual materials can be a powerful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ADHD and the generalization toward the home can be a possibility of the behavior chang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