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for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for Math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홍성두 여승수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393~4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주된 연구목적은 잠재성장계층분석을 활용하여 중재반응모형이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하위 유형 분류에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판별모형인지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1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36명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기초학습기능 수행평가체제: 수학(BASA-Math; 김동일, 2006)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수학능력을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수학학습장애위험군 학생들의 하위유형에 따른 발달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잠재성장계층모형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Tier 1에서는 4개의 그룹으로 발달적 특성을 구분할 수 있었고, Tier 2에서는 2개의 하위그룹으로 발달적 특성이 구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잠재성장계층모형을 사용하면 중재반응모형을 통한 수학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가 가능하고, 이들의 발달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교육적 함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longitudinal trajectories of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math. Participants included 236 students in Grade 3, monitored across 15 weeks using CBM math. Latent growth class analysis(LGCA) was employed to investigate whether distinct classes of participants at risk for math could be identified. As a result, in Tier 1, LGCA produced four classes of participants based on data from 1-5 weeks. In Tier 2, two classes were identified based on CBM math data collected on 10 measureme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LGCA was a useful tool to identify students at risk for math.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