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Positive Behavior Support to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A Content Analysis of 10 Years of Literatur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창호 김정민 백은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315~3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2년 미국정신지체학회(AAIDD)가 「정신지체에 관한 정의와 분류 및 지원체계」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의 사용 근거를 밝혀 두고, 또한 개별화교육계획에 긍정적 행동지원 요소들을 포함하도록 요구한 이후에 국․내․외에서 실시된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최근 실험 연구의 동향과 긍정적 행동지원 요소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난 10년간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국내․외 문헌들 중 15편을 최종 선정하였다. 선정된 문헌들은 연구문제에 의거하여 3단계 총 13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자 정보, 실험환경, 실험 설계, 종속변인 (목표행동, 측정방법, 관찰자간 신뢰도), 독립변인 (중재전략, 중재수준, 중재자, 중재충실도), 결과, 연구타당도))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정신지체 교육현장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문제행동을 감소하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켰다. 또한, 통합환경과 3가지 지원수준의 연계적인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f published literature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n both Korea and Abroad and to provide and suggest on PBS practic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the future. From the review of literature based on criterion for selection from 2002 to 2011 revealed 15 experimental studies. These founded studies primarily employed PBS to decreas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s problem behavior and increase desirable behavior. In this study, total of 13 analytic variables through 3 step; characteristic of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 study design, independt and dependent variables etc PBS strategies, target behavior, result were implemented on 15 studies to analyze. In general, this literature review suggested positive and strong evidence based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mplications of suggestion and discussion for practice for future research were describ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