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the Disability Model shown at the Welfare Laws for the Disabled at both Korea and Japan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조원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25~4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책무성이 강화되어 가는 추세 속에서 Prestley(1998)의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하여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복지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양국 장애인복지법의 선언적 실천적 부분 공히 개별모델 입장이 사회모델 입장을 압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운데 양국 장애인복지법에 부분적으로 나타난 사회모델적 시각은 한국측에서는 선언적 부분에서, 일본측에서는 실천적 부분에서 좀 더 농후하였다. 향후의 후속연구로는 일반법으로서 장애인복지법이 갖춰야 할 지향성을 명확히 제시할 것과 국내외 관련법과의 정합성 도모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made to analyze the disability welfare paradigm relevan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shown at the laws for the disabled at both Korea and Japan through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by Priestley(1998). As a result individual materialist position was dominated in recent welfare laws of both of them. So it was necessary to amend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in the directing of social accountability, that was social creationist position and social constructionist position. In addition, domestic laws amendments relevant with disabled person was required for consistency with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분석의 틀로서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
Ⅲ.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을 통한 한・일 장애인복지법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원일. (2011).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3 (2), 25-44

MLA

조원일.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3.2(2011): 2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