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Efficacy about Educ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ffecting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은숙 노진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193~21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장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수준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사효능감 수준이 교사의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180명의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대체적으로 보통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지위,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반해서,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설립 유형, 학급 유형, 담당 학급 아동의 연령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국공립 및 민간 보육시설의 교사는 사회복지 법인 보육시설의 교사보다 높은 전체 교사효능감을 보였다. 그리고 민간 보육시설 교사는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보다, 국공립 보육시설 교사는 사회복지 법인 보육시설 교사보다 더 높은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을 나타냈다. 일반 보육시설 교사는 장애아 통합 보육시설 교사보다 더 높은 전체 교사효능감을 보였지만,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효능감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만 4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효능감이 가장 높은 반면에, 만 3세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효능감이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앞으로의 교사효능감에 대한 연구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ildcare teachers' efficacy and find out what variables of factors are related to teachers' efficacy. To result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80 of childcare teachers residing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in terms of teaching career, posi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ing career.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in terms of childcare's type and age of young children in their classes. Firstly, teacher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whole efficacy than one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In addition, teachers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personal and general efficacy than one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and teachers of national·public childcare facilities showed higher personal and general efficacy than ones of social welfare corporations. Secondly, teachers of general childcare facilities had highest whole efficacy, followed by teachers of inclusive childcare facilities, and ones of private childcare facilities, while showing no differences in personal efficacy and general efficacy. Lastly, teachers of 4-years-ol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efficacy and teachers of 3-years-old children showed the lowest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and explored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on teachers effica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