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Imag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혜영 서보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2호, 121~14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과 그 특성을 Q-방법을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및 예비유아교사 55명의 면담과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진술문을 수집하여 Q 모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유목화 한 후 40개의 진술문으로 Q-표본을 구성하였다. 46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장애유아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이미지를 9단계로 Q 분류하도록 하고, 그 자료를 QUANL 프로그램을 통해 Q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는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을 ‘잠재력 인정형’, ‘발달가능성 부정형’, ‘부정적 정서 반응형’, ‘교육적 지원 요구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교사의 지원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질적 정보를 제공하며,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예비교사양성 프로그램의 유용한 기초자료가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ypes of image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Q-methodology. Q-population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 literature review regard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nterviews through brainstorming with 55 pre-service teachers. Among the extracted Q-population, 40 Q-samples were collected by category. P-sample as subjects of this study was 46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Q-sorting was conduct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imag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QUANL program.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image on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ognized by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classified into 4 types. 4 types were 'type 1: recognizing the potential', 'type 2: denying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type 3: reacting with negative emotions', and 'type 4: claiming educational support'. These results will be used to develop the program which is related with administering the integrated class and the teaching methodology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에 대한 이미지 유형 분석
-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일반 및 통합 보육교사의 배경변인별 장애영유아 교육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 터치스크린 기반 공학기기를 활용한 글씨쓰기 보완대체의사소통훈련이 비구어 자폐성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
- 청각장애영아와 일반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발달 특성 비교
- 정신지체아동의 K-ABC와 K-SIB-R 결과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
-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에 참여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성적 경험 분석
- 장애유아 어머니의 통합교육 전이과정 경험 및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 이야기 다시 말하기 담론을 통한 경도정신지체 중학생의 화용론 발달 수준 분석
- 청각장애학생을 위한 국어과 지도의 실태 분석
- 통합학급 구성원의 통합교육태도 관련 변인 간 관계 모형 개발
- 그림검사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장애인식 특징 분석
- 장애유형별 장애아동과 어머니 특성이 장애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숲 체험활동이 장애영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4세-7세 유아들의 한글 낱자 지식과 자소-음소대응규칙 지식 발달 특성 연구
- 자기점검법이 ADHD아동의 학급 내 문제행동 및 학업관련 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아동·청소년의 학습활동 및 학교생활에 관한 연구
- 장애모델의 다중 패러다임에 의거한 한・일 장애인복지법의 비교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