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옥인 홍재영 박은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371~38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특수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직무스트레스 척도와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결과;직무스트레스 척도 중 관계갈등;직무불안정;조직체계;보상부적절;직장문화 요인과 자기효능감 척도의 자기조절;자신감 요인은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척도로 사용될 수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직무스트레스;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이 연구의 모형은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자기효능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urvey was completed 2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ing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variables;job stress and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ly;regarding the measurement abou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cale of job stress and self-efficacy;interpersonal conflict;job insecurity;organizational system;lack of reward;workplace culture in subfactor of job stress and self-regulation;confidence in subfactor of self-efficacy were useful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econdly;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demographic variables;job stress and self-efficac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mographic variables that have a direct impact on job stress that appeared;and job stress showed that direct impact in the self-efficacy. Demographic variables appeared to be an indirect affect the self-efficacy. Demographic variables and job stress demand have a positive effect. Job stress and self-efficacy demand habe a negative effect. Thus the appropriateness of research model was good. This study focused o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elf-efficacy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