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Use of Portfolio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소영 정동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437~4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을 대안평가 도구로 활용하기 적절한지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초등학교 특수교육 교사 104명을 선정하여 근무기관과 담당학년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한 집단에 각각 13명씩 배정한 후 실험집단에만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적용 전후에 대안평가 인식검사를 실시하여 특수교육 교사들의 인식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해 특수학교 교사들은 특수학급 교사들보다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을 타당하고 신뢰롭고 효율적인 대안평가 도구로 인식하게 되었으며;저학년 담당 특수교육 교사들은 고학년 담당 특수교육 교사들보다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대안평가 도구로 인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육 교사들은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하여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을 대안평가 도구로 활용하기에 신뢰성;타당성;효율성 및 효과성을 지닌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use of portfolio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Based on institution of employment and appointed grade;104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selected into experimental groups and comparative groups with 13 teachers respectively. First;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a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alternative assessment depending on the institution of employment. In particular;the special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reliability;validity;and efficiency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special class teachers. Secondly;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mpact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alternative assessment depending on the appointed grade level. In particular;the lower grade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higher grade special class teachers. As seen above;special education teachers improved their perception for alternative assessment by using portfolio assessment.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education schools perceive portfolio assessment as a useful assessment tool ensured with reliability;validity;and efficiency. Teachers who work in lower grade classes perceive portfolio assessment as a useful assessment tool ensured with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Therefore;portfolio program should be presented to the students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 ensured with reliability;validity;efficiency;and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