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Review of the Research Trends and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윤실 허유성 최지영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49~7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최근 10년간 협동학습 중재연구의 경향을 살펴보고;연구의 특징과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대상 연구들은 연구대상자;연구대상자 선별도구;연구교과;연구설계;중재정보;효과 측정도구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최근 10년간 학술지에 실린 장애학생 대상 협동학습 중재연구는 23편으로 일반교육에 비해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 효과는 학업적인 측면은 물론 문제행동;사회적 기술;학습에 대한 태도;동료학습자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재 연구 수행의 엄밀성에 대해서는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추후 협동학습 연구방향과 개선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 intensive search of the literature between 2000 to April 2009 yielded a total of 23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is study analyzed the selected studies based on the research participants;instruments for selecting participants;subjects;research designs;interven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types of cooperative learning;group sizes;intervention durations;intervention places;interventionists;implementation fidelity;and effects. The cooperative learning was proved to be effective in many area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social skills;challenging behaviors;and attitude toward learning. However;many studies employed pre-post research design;unproven measuring tools;and not teste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Considering currently many special education researche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sing evidence-based practices;future studies need to employ more sound research methods. The cooperative learning seems to be one of the most promising strategies in inclusive settings. Therefore;we ne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ies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n many settings and activities both schools and othe places to improve the social competen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