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In Ca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by Integrated Class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손영화 권요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227~2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그에 따른 통합학급 교사의 실제 수행정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345명의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보내 301부가 회수되었으며 결측값이 있는 14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287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의 양호도;신뢰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SPSSWIN(Version 15.0) 프로그램과 AMOS(Version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고유치가 1이상인 요인이 5개(교수-학습 과정;평가 방법;교수 내용;교수 방법;교수 환경);29개 문항으로 나타났고;χ²;GFI;AGFI;RMR;RMSEA;TLI 등의 적합도 평가 지수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 실시하였는데 유의미한 결과가 나와 수행 하위요인들의 설정이 잘 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된 교수적 수정 수행의 신뢰도는 .94로 나와 일관성 있는 신뢰할 만한 도구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at developing the measurement tool for integrated class teachers'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hus examining the performance capabilities of the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the author raises the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how are the question items in the measurement tool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s organized?Second;how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s?Third;what features does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have according the application of the measurement tools developed?The author undertook a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ed the previous studies and developed the measurement tool consisting of 37 questions in order to deal with the research problem 1. The measurement tool was ultimately completed with 32 measurement questions;which were filtered and revised among the initial 37 questions while applying the validity tests by a group of experts in the fiel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for 30 integrated class teachers;and the clarity as well as ease of use in reading and responding were tested;which led to the modification of some of the questions;and finally yielded 32 questions. In case of dealing with the research problem 2;the author sent the questionnaires to 345 integrated class teachers nationwide in Korea;and returned 301 responses from the teachers. Among the 301 responses returned;14 responses with missing data or missing value were excluded;and thus 287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WIN Version 15.0 and AMOS Version 7.0 application packages in order to test for the goodness;reliability;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for assessing the integrated class teachers' performance capabilities. The goodness of question items was examin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values;the item discrimination was assess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the 25th and 75th;and the item difficulty was investigated by calculating the percentage of performance capabilities factors. The reliability test for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was made possible by calculating the Cronbach's coefficient alpha value;which assessed the degree of inter-item consistency;and th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yielded to examine the relation among the component factors. In addition;bot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ndertaken in order to extract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measurement tool for instructional adaptations performance capabilities and test the construct validity respectivel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eigenvalues of 5 factors such as teaching-learning process;assessment method;teaching content;teaching method;and teaching environment in 29 items were estimated to be greater than 1;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fit indices such as χ²;GFI;AGFI;RMR;RMSEA;and TLI yield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which explained that the subcategories for performance capabilities were well defined. And in case of the item difficulty;the percentage values for items were shown to be distributed in an appropriate way;and in case of the item discrimination;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items were constructed in a way that effectively discriminat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the reliability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performance capabilities was found to be consistent;so that the author was able to conclude that the measurement tool was reliable;with the reliability coefficient of 0.94. In case of the research problem 3;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