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Implic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for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유리 곽승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21~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교수내용지식(PCK)을 탐색 한 후 PCK를 특수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PCK는 Shulman(1986)에 의하여 처음으로 주장되었고;교사의 교과에 대한 다양한 배경지식과 실천적 노력에 의해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둘째;특수교육에서 PCK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장애학생의 학업능력 신장을 위해서;특수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서;장애학생의 원활한 통합교육을 위해서 매우 필요하다. 또한 PCK의 일반적인 구성요소인 교과 내용 지식;일반교육학 지식;학생 지식;상황 지식을 통하여 특수교사의 PCK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그 동안 PCK의 구인 및 특성을 파악하려는 연구에서 발전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PCK로써 TPACK를 살펴봐야 한다. 둘째;예비 특수교사 양성과정이나 현직 특수교사의 연수 과정 중에 특수교사의 PCK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apply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to special education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f PC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PCK was suggested by Shulman(1986) first and helps teachers to maximize the effects of classes through their abundant background knowledge and practical efforts. Second;PCK is urgently needed for special educa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or improving academic 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for developing the professionalis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and for offering smooth integrat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PCK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established based on the general elements of PCK;namely subject matter knowledge;general pedagogical knowledge;student knowledge;and situation knowledge.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made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First;previous studies attempted to understand the key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PCK;but it is time to examine TPACK as a form of PCK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Second;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reinforce P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during the training course for pre-service or curr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교수내용지식(PCK)에 관한 탐색
Ⅲ. PCK를 통한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 함양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