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Discussion Activities with Parents using Fairy Tales related to Disability on the Disability Awareness of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조현진 강영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387~4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 유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장애에 대한 일반유아의 긍정적인 인식을 길러주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체적으로 유아와 가장 밀접한 상호작용을 하는 부모와 장애관련동화를 이용한 토의활동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Y시에 소재한 U병설유치원 원아 3명이다. 이들은 장애관련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 방안에 대하여 교육을 받은 자신의 부모와 12회기에 걸쳐 토의활동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녹화자료와 부모와의 면담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유아의 장애인식은 편견과 이해의 부족을 보이는 ‘장애와의 만남 단계’에서 나와의 공통점을 찾고 관심을 가지는 ‘장애에 대한 개념인식 단계’;편견이 감소하고 긍정적 인식이 증가하는 ‘장애에 대한 이해 단계’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부모와 함께하는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iscussion activities of fairy tale related disability with parents on disability awareness of children. For this study;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 children and their parents at kindergarten attached to U elementary school situated in Yangsan;Kyungsangnam-do. In order to confirm the process of change on disability awareness;quality analysis was carr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According to quality analysis of the process of discussion with parents;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hildren's disability awareness begins to ‘the step of meeting disability’;where there are prejudice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disability. And the following step is ‘the step of the concept awareness on disability’;where the children find something in common and interest with disability. Then the last step is ‘the step of understanding disability’ where the children decrease prejudice and increase the positive awareness on disability. Consequently;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 order to improve disability awareness;discussion activities of fairy tale related disability with parents can be used as a considerately effective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