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nclusion Debate in German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주화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253~27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독일에서는 통합교육이 도입된 이후 40여 년이 지난 현재 다시금 통합교육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논쟁은 Hinz가 영미지역에서 Inclusion 개념을 도입하면서 독일의 Integration을 강한 어조로 비판한 데서 촉발되었다. 영미지역의 Integration과 독일의 Integration을 단순 비교할 수 없다는 시각이 대두되면서 Hinz는 더욱 극단적인 입장을 취하게 된다. 독일의 Integration을 강하게 비판하며 그 대안으로 Inklusion을 도입한 만큼 그의 Inklusion 모델에서는 Integration의 문제가 발견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보여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극단적인 입장은 다양한 반론을 불러 일으켰고;독일 통합교육에 대한 논쟁은 더욱 격화되었다. 논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분명해진 사실은 통합교육이 실질적으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공통성과 다양성 간의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독일 통합교육논쟁의 다양한 쟁점사항을 제시하고;공통성과 다양성 간의 균형유지라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통합교육의 현 상황과 관련하여 논의를 확대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is currently a very controversial discussion on inclusion in Germany. Hinz;a leading expert on inclusion in Germany rigorously criticized the theory and practice of integration;especially the problems of segregation and categorization. He represent the view in an extreme way that the problems of segregation and categorization;should not occur in the practice of inclusion;because this is an alternative to integration for him. For this reason;he insists on dealing with the heterogeneity of the classroom as a whole;instead of providing individual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his extreme focus on heterogeneity leads to another problem: specific individual needs of each student with disabilities are neglected. Finally;a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e current inclusion debate in Germany in that a balance between commonality and diversity should be maintained. This study first presents the current inclusion debate in Germany. Then;it discusse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clusion in Korea;in terms of the balance between commonality and diversity.
목차
Ⅰ. 서론
Ⅱ. 통합교육의 개념에 관한 논쟁: Integration vs. Inklusion
Ⅲ. 통합교육의 이론과 실천 방안에 관한 논쟁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