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민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3호, 163~1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2년부터 최근 2011년 6월까지의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국내 연구들을 분석하여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 전망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11년 6월까지의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에서 이 연구의 선정기준에 맞는 논문 39편을 분석하였다.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연구대상을 분석하고 중재환경과 중재전략을 분석하였다. 또한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일대상 연구방법을 사용한 논문 20편을 분석하였다. 분석 변인은 연구대상;실험환경;실험설계;측정도구 및 방법;관찰자간 신뢰도;유지;일반화;중재충실도;사회적 타당도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에 따라 세부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하였으며;장애가 있는 아동의 행동중재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ing internal researche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by recent June 2011 and examine research trends 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provide problems of researches forward. A total of 39 articles were selected by the criteria for this synthesis and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ype;subjects and design. In case of empirical study;intervention settings and strategies were additionally analyzed. Also 20 quality indicators are used for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such as analytic variable: participants;research setting;experimental desisn;method of measurement;interobserver reliability;social validation;treatment fidelity;results;maintenance;generalization. In general;the literature provided positive;and in some cases very strong evidence for effectivenes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nalytic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on PB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청각장애인 가족 유형에 따른 청소년 자녀의 경험 분석
- TV 수화언어 방송통역 분석
- 학력저성취 청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와 학습자 경험중심모형 특성 연구
-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분석 및 한국적 시사점 탐색
- 교수내용지식(PCK)의 특수교육에 대한 함의
- 국내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연구의 동향분석
- 정신지체아동 진단․평가 및 교육적 지원을 위한 퍼지 프로그램 개발․적용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 부모와의 장애관련동화 토의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 통합학급 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수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각장애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에 대한 학생 및 학부모 인식 분석
- 초등학생 장애형제를 둔 비장애형제의 경험에 대한 부모 인식
-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 학령기 전 아동의 음운인식과 작업기억 구성요소 간의 관련성 분석
- Hinz의 Inklusion 모델과 최신 독일 통합교육 논쟁
- LEOPARD 증후군 아동의 인공와우이식 후 청능재활 사례 연구
-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 국내 장애학생의 협동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