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수어와 미국수어의 비교문화학적 차이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ng Korean sign word and American sign word from inter-cultural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중현 유은정 안성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285~3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일종인 제스처 등이 나라마다 다른 이유를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적인 차이를 반영하기 때문이라는 학자들의 주장을 살펴보고, 제스처 등에 비해 더욱 복잡한 언어체계를 갖춘 수어가 각 나라마다 다른 이유를 문화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특히 나라별로 문화차이를 설명하는 준거를 바탕으로 문화적 차이가 한국과 미국의 수어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를 찾아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수어단어 중에 같은 뜻을 나타내지만, 다른 수어동작으로 표현되는 단어를 5가지 유형으로 설명하였다. 분석결과, 미국과 한국의 수어 동작 차이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등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인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어가 언어로서 문화적인 산물인 만큼 한국과 미국의 수어가 문화적 차이를 보인다는 것은 수어가 언어라는 측면에서 당연한 결과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당연시 되는 수어의 문화적 차이를 처음으로 살펴본 연구로서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적은 수의 수어단어를 대상으로 한 점과 미국과 한국의 수어만으로 대상으로 하는 점 등 여러 가지 제한점이 있으므로 앞으로 연구과제는 여러 나라의 많은 수어를 대상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Nonverbal communication includes gesture which meanings are different according to countries. A lot of study on inter-culture approach to investigate gesture differences among countries showed th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cultural differences of countries. Using the criteria for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gesture in the studies, the differences between American sign words and Korean sign words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many sign words selected in this study reflected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su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mplicated sign language ha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rue language.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electing few sign words and comparing the sign words of only two countries, America and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한국수어와 미국수어의 비교문화적 분석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소음상황에 따른 문장 듣기 능력
-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지체장애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주제 및 반성적 표현유형 분석
- 독일과 일본의 중도 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탐색
- 특수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결정기술 교수 증진을 위한 전략과 실행과제 탐색
-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에서의 외부지원자 피드백 효과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Rule-governed Responding Checklist on the Accuracy of Peer Tutoring of the Sixth Grade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y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 구성요인 분석
-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 장애학생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분석
- 한국수어와 미국수어의 비교문화학적 차이
- 신문 사설의 장애인 관련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