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Burnout,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배옥경 김자경 강혜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47~1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소진,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의 특성과 소진 및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내 10개교 특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초·중등 특수교사에게 설문지 346부를 배포하여 회수된 263부 중 무응답지 7부를 제외한 256부(회수율 73.99%)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는데, 빈도수가 적어 통계적 처리에 적합하지 않은 전공과 6부를 제외한 설문지 25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소진 총점을 비교한 결과, 근무학교 형태에서만 차이를 보였는데, 공립교사가 사립교사보다 소진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총점을 비교한 결과, 연령과 특수교육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서는 40대 이상의 교사가 30대 미만의 교사보다, 경력에서는 10년 이상의 경력자가 3년 미만 및 3년 이상-10년 미만의 경력자보다 전체 임파워먼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도 총점을 비교한 결과, 모든 배경변인에 대하여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특수교사의 소진 및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설명량은 62%였으며 소진, 임파워먼트 순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대한 소진의 하위영역별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비인간화는 유의하지 않아 제외되었고, 전체 설명량은 58%였으며 개인의 성취감 상실, 정서적 고갈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하위영역별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자율성과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아 제외되었고, 전체 설명량은 47%였으며 과업수행동기, 비전공유, 자기효능감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서 소진, 임파워먼트, 직무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수교사의 소진과 임파워먼트는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얻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burnout,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fact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understand the effect of burnout,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46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10 special schools in P city. 256 special teachers responded with the response rate of 73.99% and 6 vocational program teachers were excluded in the data analysis. Based on the total of 250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rvey obtained by the research, frequency analysis, t-test or F-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with SPSS 18.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public schools showed higher levels of burnout than those in the private schoo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levels of burnout according to the other background variables.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levels of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ages and years of teaching career. Special education teachers aged above 40 showed higher levels of empowerment than those aged below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more than 10 years of teaching career showed higher levels of empowerment than those who have less teaching career. Thir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levels of total scor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all of background variables. Fourth, significant variables which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empowerment and burn out. The strength of influencing power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shown as burn out > empowerment. Significant variables of burn-out which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emotional exhaustion. The strength of influencing power was shown as personal accomplishment > emotional exhaustion. Significant variables of empowerment which influenced on job satisfac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task performance motivation, sharing vision, self-Efficacy. The strength of influencing power was shown as task performance motivation > sharing vision > self-Efficacy. We concluded that characteristics of burnout,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can differ depending on the background factor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burnout and empower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ffect job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소음상황에 따른 문장 듣기 능력
-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지체장애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주제 및 반성적 표현유형 분석
- 독일과 일본의 중도 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탐색
- 특수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결정기술 교수 증진을 위한 전략과 실행과제 탐색
-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에서의 외부지원자 피드백 효과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Rule-governed Responding Checklist on the Accuracy of Peer Tutoring of the Sixth Grade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y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 구성요인 분석
-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 장애학생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분석
- 한국수어와 미국수어의 비교문화학적 차이
- 신문 사설의 장애인 관련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