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주제 및 반성적 표현유형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opic and reflective responses in expressive writing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옥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67~8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주제유형과 반성적 표현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중학교 23개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36명의 텍스트 212개(텍스트 분절문 1,424개)를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Farley(1986)의 주제유형 방식과 Surbeck 등(1991)의 반성적 표현유형을 기초하였으며,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 학생은 여가(30.7%), 가족(26.4%), 학교(19.8%) 주제 순으로 자기표현 글쓰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여자친구(5.7%), 자기관리(6.6%) 주제의 자기표현 글쓰기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고용(4.2%) 주제는 장래 희망직업과 같은 작문 위주의 사례가 나타났으며, 종교(2.4%) 주제에는 비교적 적게 나타났으며, 운전 주제는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 간 차이는 친구 주제에서만 나타났다. 반성적 표현유형 분석 결과 구체적 정교화(45.6%)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비교, 일반화된 정교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반응-서술(34.7%)의 반성적 쓰기가 많이 나타났으며, 반응-긍정적 감정(11.4%), 부정적 감정(5.1%) 순으로 나타났다. 반응-개인적 우려는 다른 반성적 표현유형과 비하여 적게 나타났다(1.5%). 숙고-개인적 초점은 약간 나타났으나(1.7%), 사건에 대한 개별적 문제 해결 방법을 단순하게 다짐하는 정도의 사례였으며, 숙고-사회적/윤리적 초점과 관련된 쓰기표현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성적 표현유형의 학년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 주제 및 반성적 표현유형 분석과 사례는 이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글쓰기 학습을 위한 지도방안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topic and reflective responses in expressive writing of 36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re enrolling twenty-three middle schools. This study analyzed 212 texts and 1,424 text segments with the topic and reflective responses introduced by Farley (1986) and Surbeck (1991). Often, the topic of leisure, family, and school were used in expressive writing b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verall. More specifically, the topic the opposite sex friend and self-management were more used in expressive writing in the upper grade. In opposite, the topic of religion was not appeared compare to the topic of driving. The analysis of reflective responses, the concrete elaboration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and however the comparative elaboration and the generalized elaboration did not appear. Reflective responses to the report of reaction were higher tha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The personal focus of meditation was less compared with other reflective responses. The social/ethical focus of contemplation did not appear and the result of reflective respons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grade level. The results and the examples of the topic and reflective responses in expressive writing from this study could be used in practices and developments of teaching strategies for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소음상황에 따른 문장 듣기 능력
-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지체장애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주제 및 반성적 표현유형 분석
- 독일과 일본의 중도 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탐색
- 특수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결정기술 교수 증진을 위한 전략과 실행과제 탐색
-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에서의 외부지원자 피드백 효과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Rule-governed Responding Checklist on the Accuracy of Peer Tutoring of the Sixth Grade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y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 구성요인 분석
-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 장애학생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분석
- 한국수어와 미국수어의 비교문화학적 차이
- 신문 사설의 장애인 관련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