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Textbook Structure and the Basic Curriculum for ‘umbers and Calcul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권순황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267~28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육 교육과정 내의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1,2 학년 수학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개발 보급된 교과서 내용체계간의 적정성을 알아보고자 다음의 연구목적을 설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1,2 학년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의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알아보았다. 둘째,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1,2 학년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의 교과서 내용 체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1,2 학년 수학과는 ‘수와 연산’ 영역이 비중있게 다루어진다. 이 시기 지도되는 ‘수와 연산’은 2008 특수학교 교육과정 내의 기본 교육과정 수학 1단계 ‘수’영역과 유사하며 ‘수 개념’ 이전의 성취기준이 중점적으로 반영되는 특징이 있다. 둘째, 기본 교육과정 초등학교 1,2 학년 수학과 교과서의 ‘수와 연산’은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차시별로 반영하고 있다. 이 때 성취기준에 근거한 차시의 활동들이 평면적으로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gruency between the achievement objectives and textbook structure for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based on ‘Numbers and Calculation’ domain. For that, this paper includes two distinct studies. First, the study to examine the curriculum achievement objectives for ‘Numbers and Calculation’ domain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pecial students. Second, the study to examine the structure of current textbook for the same domain, and for thos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Basic Curriculum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 special students focus on the “Numbers and Calculation” domain. Current domain is similar with former ‘Number’ domain, or 2008' fir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When it comes to curriculum achievement objectives, those before ‘Number Concept’ is evaluated in priority. This study also shows that ‘Numbers and Calculation’, the textbook, reflects objectives in every class. In regard to the learning activities, they are superficially repeated based on the achievement obj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에니어그램을 이용한 집단프로그램이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인공와우 착용 아동의 소음상황에 따른 문장 듣기 능력
- 마인드 맵을 이용한 이야기나누기가 지체장애학생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학생의 자기표현 글쓰기에 나타난 주제 및 반성적 표현유형 분석
- 독일과 일본의 중도 중복장애학생 교육과정 탐색
- 특수교사의 소진, 임파워먼트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특수교사의 자기결정기술 교수 증진을 위한 전략과 실행과제 탐색
-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에서의 외부지원자 피드백 효과
- The Effects of Implementing Rule-governed Responding Checklist on the Accuracy of Peer Tutoring of the Sixth Grade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y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 구성요인 분석
- 초등학교 1,2학년 수학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기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분석
- 장애학생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분석
- 한국수어와 미국수어의 비교문화학적 차이
- 신문 사설의 장애인 관련 내용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