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에서의 외부지원자 피드백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xamining Effects of Feedback Provided By an External Supporter During Early Childhood Inclusion: Application of Individual Support Plan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진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2호, 171~19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지원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명의 일본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지원계획안의 작성과 실천, 유치원 교사에 의한 정기적인 평가의 실시, 일상 보육활동 속에서 개별지원교수전략의 사용과 삽입학습기회(ELO)의 활용에 대해 외부지원자가 정기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개별지원계획안의 작성 시 외부지원자와 교사가 협의하여 대상유아의 표적행동 및 구체적인 교수전략을 선정하였다. 또한 외부지원자는 정기적인 피드백을 통해 유치원 교사에 의한 개별지원계획안 적용의 적절성과 보육활동 속에서의 ELO 활용을 촉구하였다. 그 결과 대상유아 2명의 보육활동 참가와 적절한 행동이 촉진되었다. 또한 교사의 바람직한 교수전략 사용과 ELO 사용률, 및 정확한 실행률은 외부지원자의 피드백 조건하에서 더욱 향상되었다. 따라서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유치원 교사에게 2회의 세미나를 통한 교사 훈련만으로는 통합교육 지원이 충분하지 못하였으며, 외부지원자로부터 피드백을 통한 교사 지원을 필요로 하였음이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An external supporter, regularly provided feedback for two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utilization of embedded learning opportunities (ELO) in daily childcare activities,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dividual support plans, and the evaluations by the kindergarten teach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pport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In developing individual support plans, the external supporter and the teacher selected objectives and specific instructional strategy through consultation. Moreover, opportunities for feedback from the external supporter were provided regularly to foster adequacy of the application of individual support plans by the kindergarten teacher and utilization of ELO in daily childcare activities. As a result, participation of two children in childcare activities and appropriate behavior were promoted. In addition, usage of a desirable instructional strategy by teachers, interval ratio of ELO usage, and rate of accurate implementation were more enhanced under the feedback condition from the external supporter. In conclus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eacher's training in two workshops was not sufficient for kindergarten teachers without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inclusion and that they needed teacher's support through feedback from the external support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희. (2013).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에서의 외부지원자 피드백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 (2), 171-198

MLA

김진희.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에서의 외부지원자 피드백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2(2013): 171-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