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대학생의 행복감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이용수  0

영문명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정세영 박재국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99~12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행복감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부산 및 경상지역 소재 1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05명의 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행복감은 전반적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영역에서 점수가 가장 높았고, ‘외모’영역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 행복 척도를 구성하는 16개의 하위 요인 중 전공적성, 외모, 가족, 능력·잠재력, 자기관리, 경제력, 이성친구, 건강, 여유·휴식, 취미 영역에서 장애대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대학생의 행복감과 배경변인별 차이에 따른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rceived their own happine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5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12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appiness score of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lose to mean level. The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gained the highest point in the family factor and the lowest point in the appearance factor. Second, the data were used to compare the happiness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variables; aptitude, appearance, family, ability·potential, self-control, financial ability, boy/girl-friend, health, and res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세영,박재국. (2013).장애대학생의 행복감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특수아동교육연구, 15 (4), 99-123

MLA

정세영,박재국. "장애대학생의 행복감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특수아동교육연구, 15.4(2013): 99-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