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The Investigation of Educational Service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in IDEA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황원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143~16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의 권리보호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고, 그 시사점을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비교를 위한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미국 IDEA는 이 법 내에 별도의 독립된 부분(Part C)을 마련하여 장애 영유아의 권리를 보호하고 있다. 특히 만 3세 이하의 장애 영유아에 대하여는 국가, 부모 및 전문가가 협의하여 개발한 종합적인 돌봄(total care)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조기중재서비스(EIS)라 불리우며, 장애아의 부모가 참여하는 개별화된 가족서비스계획(IFSP)팀에 의해 개발된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는 만 3세미만의 장애 영유아에 대한 특수교육서비스는 부모의 필요에 따른 선택적 신청제도를 채택하여, 장애 영유아에 대한 지원이 정부에 의한 적극적 지원보다는 부모의 재정능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만 3세미만의 장애 영유아에 대한 실질적인 권리가 보장될 수 있도록 법령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service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in IDEA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through comparing those with the similar services in the Special Education Act of Disabilities (SEAD) in South Korea. IDEA is the federal law of the U.S. that requires schools to provid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for the qualified children with disabilities. Part C of the IDEA, which was mainly researched, governed policies for infants and toddlers under age 3. The results were that the U.S government was more delicately providing early intervention services designed to meet the developmental needs of a particular infant or toddler. The individualized family service plan team in states developed early intervention services by a family-directed assessment of the resources, priorities, and concerns of the family.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government was not providing appropriately fre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for the infants and toddlers below age 3. This was partly blamed on the fact that the Korean Act (SEAD) addressed the voluntary application system of parents for free special education below age 3, meaning it served only those that apply.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expanded more free special education and related services for the infants and toddlers below age 3. The revisions of the Korean Act (SEAD) were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의 교육서비스 내용
Ⅲ. 한국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상 장애 영유아의 교육 서비스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황원. (2013).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특수아동교육연구, 15 (4), 143-161

MLA

이황원.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특수아동교육연구, 15.4(2013): 143-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