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과의 대화
이용수 0
- 영문명
- Dialogue between Behaviorism and Merleau-Ponty Phenomenology on Support for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혜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445~46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 간의 조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방법론적 병용을 시도함으로써, 중도・중복장애학생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바람직한 이론과 실제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분석을 통한 이론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행동주의가 단기간에 가시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는 사실은 분명하나,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입장만을 강조하는 행동주의적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통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은 그들이 살아있음(존재) 그리고 살아가고 있음(삶의 역사)을 발현하는 것이며, 역동적이고 야생적인 지각 및 변증법적 관계형성을 통해 교사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공통의 의미 이해가 가능해진다. 셋째,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장면에서 교사와 중도・중복장애학생 간의 지향적 행동을 통한 실존적 삶과 그 삶의 습관화는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중재방법들의 출발점이자 방법 그 자체이다. 따라서 행동주의 이론이 구축한 효과적이고 객관적인 중재와 지원방법들은 현상학적 방법론의 인식과 지평 위에서 교사의 판단이나 선택에 따라 실용적인 기법으로 적재적소에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d a purpose that to fi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support for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searching balance possibility between behaviorism and Merleau-Ponty phenomenology and attempts to methodological compromise. This theoretical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behavioral approach was a scientific and objective way to provide remarkable effect in the short term. However, it was necessary to discern reflectively about behaviorism for support of problem behavior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as to express that they lived(existed) and that the living (life history). In addition, teachers and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could understand the common meaning through the dialectical relationships and wild perception. Third, the existential life and habituation of lif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directly situation was a starting point and intervention itself for support of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refore, it was desirable that objective behavioral intervention and techniques was properly utilized on recognition and horizons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목차
Ⅰ. 서론
Ⅱ.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행동주의적 접근
Ⅲ.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적 접근
Ⅳ.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 현상학과의 대화를 통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원방법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국어과 교과교육 교수효능감 연구
-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Young Children with Soci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이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 뇌성마비 아동의 기초개념 이해도 연구
-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문제해결학습이초등학생의 학년별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과의 대화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 장애대학생의 행복감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 중국정부의 특수교육 법제화 과정에 관한 소고
-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 실태
- 예비 유아·보육교사와 예비 사회복지사의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보육과 그에 관한장애 영유아 관련법에 대한 인식 비교
-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내 특수아상담 교과목 운영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 장애유아가족의 기능에 관한 연구
- 초임 보육교사의 장애전담 어린이집적응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이 장애학생의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 어휘지도활동이 청각장애대학생의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
-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Positive Social Approvals and Negative Disapprova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ies
- 한국어-한국수화 동시통역의 시간적 양상 분석
- 게임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재인과 주의지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