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긍정적 행동지원(PBS)이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for a Student with Severe Autistic Disorder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창호 이미애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181~19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 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 중인 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자해행동, 학급 이탈행동, 자위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의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나타내는 아동을 대상으로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하고 기능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된 가설을 기초로 배경사건 중재,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중재와 후속결과 행동 중재를 하였다. 연구설계법으로는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방법을 이용하였고, 관찰은 지속시간 기록법을 사용하여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수업시간에서의 연구대상 아동의 문제행동 지속시간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ntervention on problem behaviors of a student with severe autistic disorder in special school. The target behaviors were three, hitting his own head, getting out of the class, and masturbation (touching his genital organ) during his studying time at school. The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led to the hypotheses for problem behaviors in natural context like class teaching at school.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of setting event, antecedent, alternative behavior, and consequence behavior intervention were designed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The frequency of student’s problem behavior was measured using duration time recor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duration time of striking his own head, getting out of the class, and masturbation during his teaching time at school. Secondly, the decrease of the striking his own head, getting out of the class, and masturbation by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was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Follow up studies were recommended with different categories of subjects with disabilities for generalization of PBS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호,이미애. (2013).긍정적 행동지원(PBS)이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 (4), 181-198

MLA

김창호,이미애. "긍정적 행동지원(PBS)이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4(2013): 181-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