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Training including Individualized Support on Purchas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남경욱 오순영 신현기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353~37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본 중재의 효과검증을 위해 수집한 자료를 문제해결 단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기능적인 기술 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중재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대상 학생들의 평소 물건 구매하기 수행에 대한 사전 관찰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행수준에 적절한 물건 구매하기 과제분석을 실시했으며, 분석된 일련의 과제들은 Polya의 문제해결단계를 참조해서 준비, 실행, 점검의 세 단계로 나누어 중재와 분석에 활용했다. 과제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과제 수행시 사용할 자기점검표를 구성했으며, 기초선 측정 후 교실과 지역사회의 슈퍼마켓과 편의점에서 자기점검법 중재를 주 3~4회 실시했다. 이때 각 학생의 서로 다른 미흡한 하위기술들에 대해서는 개별화된 지원을 제공하였다. 연구설계는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했으며, 자료는 과제분석표 상의 물건 구매하기 하위기술들에 대한 평균 수행률을 측정해서 그래프로 제시했고, 본 연구와 관련된 신뢰도 및 타당도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은 대상학생들의 물건 구매하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 효과는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으며, 일반화 측정 2주 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의 물건 구매하기 수행률을 과제 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학생에 따라 물건 구매하기 과제의 서로 다른 단계에서 과제수행의 어려움과 향상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training with individualized supports on purchas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to analyse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oblem solving. For this purpose, three mal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special classes who had not been taught about explicit purchasing skills before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rder to figure out how the participants purchase goods, pre-observation was implemented. After analyzing the task of their purchasing behaviors, the study developed the stages of purchasing goods for the students. The stages consisted of three subordinated stages; preparation, implementation, and review. Based on these stages, self-monitoring strategy was employed and analyzed. Using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he study measured changes in the rate of purchasing skill performance and checked whether the effects thereof were generalized in other places and wer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monitoring training with individualized support had positively affected the participants' purchasing performances. Second, the reason and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varied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 solving stag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implic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경욱,오순영,신현기. (2013).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 (4), 353-377

MLA

남경욱,오순영,신현기.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15.4(2013): 353-3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