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Young Children with Soci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이용수 0
- 영문명
- 놀이치료가 유아의 사회성 및 행동문제와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지경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407~42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회성 및 행동문제를 보이는 유아들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관련된 요인들에 대한 놀이치료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놀이치료의 적용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유아의 내현적 문제, 외현적 문제,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7명의 유아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부모양육스트레스 검사 (Parenting Stress Index)와 사회적 유능성과 행동평정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SCBE, Preschool Edition)도구가 사용되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프리드만 검정 (Friedman test), 윌콕슨 검정 (Wilcoxon test), 그리고 기술통계 (descriptive statistics)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놀이치료와 네 가지 변수들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것은 놀이치료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내현적ㆍ외현적 문제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both young children who were at risk of soci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cross three time points through play therapy,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hanges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by applying play therapy. Seven children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enting Stress Index (PSI) and Friedman test, Wilcoxon 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all the following four variables;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his indicated that the positive effects were show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ternalizing problems, externalizing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through play therapy.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LIMITATIONS & FUTURE STUDY
Ⅵ.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국어과 교과교육 교수효능감 연구
-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Young Children with Soci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이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 뇌성마비 아동의 기초개념 이해도 연구
-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문제해결학습이초등학생의 학년별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과의 대화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 장애대학생의 행복감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 중국정부의 특수교육 법제화 과정에 관한 소고
-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 실태
- 예비 유아·보육교사와 예비 사회복지사의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보육과 그에 관한장애 영유아 관련법에 대한 인식 비교
-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내 특수아상담 교과목 운영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 장애유아가족의 기능에 관한 연구
- 초임 보육교사의 장애전담 어린이집적응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이 장애학생의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 어휘지도활동이 청각장애대학생의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
-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Positive Social Approvals and Negative Disapprova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ies
- 한국어-한국수화 동시통역의 시간적 양상 분석
- 게임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재인과 주의지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