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문제해결학습이초등학생의 학년별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omparison of Effects of Attitudes Development Program toward Disabilities and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isabilities and Their Self-efficienc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윤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379~40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여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개선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학생 142명이었다. 초등학교 3학년 45명과 초등학교 5학년 49명으로 구성된 두 개의 실험집단과 3학년 23명과 5학년 25명의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였다. 두 개의 실험반에는 각각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문제해결학습을 적용하였다. 전후검사로 연구설계하였으며, 실험처치는 12주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개선에 효과적이었으나,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문제해결학습은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반면,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변화의 평균에서는 긍정적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 연구에서 적용한 두 독립변인의 효과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개선과 자기효능감은 적용하는 독립변인의 통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erformed the comparison of effects between the attitude development program toward disabilities and the problem based learning for the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lf-efficiency. 1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wo parts, 45 third grade and 49 fifth grade students, which were to apply the attitudes development program toward disabilities and problem based learning. One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23 third grade students and 25 fifth grade students. Pre- and post- test design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and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for 12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 the attitude development program toward disabilities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 self-efficiency was not effective; (b) the problem based learning was not effective statistically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even though the mean was effective, however the self-efficiency was effective; and (c) the two independent variable, attitudes development program toward disabilities and problem based learning was illustrated as the similar effects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elf-ef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depends on how to control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e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ould be chang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국어과 교과교육 교수효능감 연구
-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Young Children with Soci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이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 뇌성마비 아동의 기초개념 이해도 연구
-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문제해결학습이초등학생의 학년별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과의 대화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 장애대학생의 행복감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 중국정부의 특수교육 법제화 과정에 관한 소고
-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 실태
- 예비 유아·보육교사와 예비 사회복지사의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보육과 그에 관한장애 영유아 관련법에 대한 인식 비교
-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내 특수아상담 교과목 운영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 장애유아가족의 기능에 관한 연구
- 초임 보육교사의 장애전담 어린이집적응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이 장애학생의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 어휘지도활동이 청각장애대학생의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
-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Positive Social Approvals and Negative Disapprova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ies
- 한국어-한국수화 동시통역의 시간적 양상 분석
- 게임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재인과 주의지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