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이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nglish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강영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5권 제4호, 39~5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실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의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 경남 지역의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 190명이다. 설문응답결과를 토대로 교수효능감 수준을 상 30%, 중 40%, 하 30%로 나누어 집단 간 교수적 수정 실행도의 차이를 F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은 상집단의 영어전담교사가 중집단과 하집단의 영어전담교사에 비해 교수적 수정 실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적 수정의 하위 영역별로는 교수평가 영역을 제외한 교수환경, 교수적 집단화, 교수방법, 교수내용 영역에서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은 상집단의 영어전담교사가 중집단과 하집단의 영어전담교사에 비해 높은 실행도를 보였다. 교수평가 영역에서는 세 집단 간에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행도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적 수정의 하위영역별 문항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수효능감이 높은 영어전담교사가 통합장면에 있는 장애학생의 개별적인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교육하는 경향을 보여주었으나 교수내용과 교수평가의 수정 실행에서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교수효능감 외에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적 수정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말해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nglish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are 190 English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at elementary schools in Busan City and Kyungnam province. The questionnaires are composed of background information, teaching efficacy, and instructional adaptations. After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op 30%, middle 40% and bottom 30%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fficacy,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he three sub-instructional adaptations(instructional environment, instructional groupings, instructional methods) between English teachers with high teaching efficacy and English teachers with middle and bottom teaching efficacy.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in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instructional evaluation. But in the above two areas English teachers with high teaching efficacy get higher points than English teachers with middle and bottom teaching efficac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nglish teachers’ teaching effic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국어과 교과교육 교수효능감 연구
- 보완대체의사소통에 대한언어치료사들의 인식도 조사
- 누리과정에 따른 3-5세 어린이집 프로그램에나타난 ‘장애’ 관련 활동 분석
- 개별화된 지원을 포함한 자기점검법 훈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물건 구매하기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lay Therapy on Young Children with Soci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교수효능감이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 실행에 미치는 영향
- 뇌성마비 아동의 기초개념 이해도 연구
- 장애인식개선 프로그램과 문제해결학습이초등학생의 학년별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과의 대화
- 긍정적 행동지원(PBS)이중증 자폐성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미국 장애인 교육법(IDEA)상 장애 영유아 교육서비스에 대한 고찰
- 장애대학생의 행복감 수준과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
- 중국정부의 특수교육 법제화 과정에 관한 소고
- 정신지체 특수학교 초등학생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국어과 읽기, 쓰기 영역의 수행수준 실태
- 예비 유아·보육교사와 예비 사회복지사의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보육과 그에 관한장애 영유아 관련법에 대한 인식 비교
- 전문상담교사 양성과정 내 특수아상담 교과목 운영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과 경험
- 장애유아가족의 기능에 관한 연구
- 초임 보육교사의 장애전담 어린이집적응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미술활동을 통한 성교육이 장애학생의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 어휘지도활동이 청각장애대학생의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논의를 강조한 탐구 학습법에 따른 초등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
- 국내 장애 관련 웹 접근성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Positive Social Approvals and Negative Disapprova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motional Disabilities
- 한국어-한국수화 동시통역의 시간적 양상 분석
- 게임기반 언어훈련 애플리케이션이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재인과 주의지속 능력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