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Family Support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cused on the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IFSP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조현근 이병인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57~18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별 가족의 강점과 관심에 기초한 체계적인 서비스 전달 관리 문서인 IFSP의 원리 및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장애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유아특수학교, 특수학교유치원, 장애아전문어린이집 238기관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151기관의 응답이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설문은 장애영․유아를 위한 교육 및 서비스 제공 시 IFSP 구성요소에 기초한 가족지원 실태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장애영․유아의 교육 및 서비스 지원이 IEP를 구성하는 요소 외에 다른 요소에 대한 기록과 관리 및 가족단위의 교육 및 서비스 지원을 위한 관리 문서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원활하고 지속적인 가족 참여를 위해 가족의 전반적인 영역의 유기적인 기능 평가를 위한 가족 진단 전문 인력의 확보와 가족 참여 수준의 질적 향상을 위한 관련 전문가의 방문, 가족과의 원만한 관계유지를 위한 노력과 관리 체계가 요구된다. 셋째, 전문가 간의 질적인 교류를 위해 서로의 전문 영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워크숍과 원활한 협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넷째, 조기발견과 선별 및 진단에 관한 도구의 활용과 결과해석 등의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하다. 다섯째,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중 가족들 개별 가족들이 요구하는 영역에 대한 지원인력 확보가 필요하다. 여섯째, 서비스 조정자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야하며, 서비스 조정의 역할을 담당하는 인력의 전문성 제고가 요구된다. 일곱째, 전이 지원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전이 지원 방법의 다양성을 모색해야 하며, 전이 결정에 대한 정보 제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개별 장애영․유아의 특성과 각 가족의 특징을 반영한 환경 배치 및 적합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향후 체계적인 가족-중심의 유아특수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explore current status of family support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family support status of domestic research based on purposes, principles, and components of the IFSP.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survey methods were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s follow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organization across the country, total 238 organizations were selected―kindergarten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school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ay-care center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151 of 23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o analyze the data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anagement documents for famil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needed to be developed. Second, training on the use of family assessment tools was required. Third, in order to cooperate among experts, bett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areas on ​​expertise was required. The cooperation programs and workshops needed to be developed. Fourth, assessment specialists were required. Fifth, professional staff in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were required. Sixth, the concepts of service coordinator and case manager should be clearly defined. Seventh, the supports for the transition, such as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DB construction were required. Eighth, arrangement that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disabled young children was need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as follows; proposing the direction on researches related to the family support and providing a basis for family-centered practice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iel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현근,이병인. (2014).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16 (1), 157-187

MLA

조현근,이병인.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16.1(2014): 157-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