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on Chang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유리 곽승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127~1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반성적 사고를 통해 특수교사의 PCK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봄으로써 PCK가 특수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특수교사 2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성적 사고를 통해 특수교사의 수업 내용 지식이 변화하였다. 둘째, 반성적 사고를 통해 특수교사의 수업 방법 지식이 변화하였다. 셋째, 반성적 사고를 통해 특수교사의 장애 학생의 특성에 대한 지식이 변화하였다. 넷째, 반성적 사고를 통해 특수교사의 학습 환경 지식이 변화하였다. 다섯째, 반성적 사고를 통해 특수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이 변화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CK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hanged in mathematics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Therefore, in this study, a qualitative method in which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iversified data after observing classes of research participants rather than a statistical experiment or survey was implemented. For this research, 2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ing educational career of 2 yea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relevant data was collected through class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colleague coaching, and journal writing,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Nvivo 10. The results deduced through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class content related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hanged. Second,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teaching method related knowledg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hanged. Third,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hanged. Fourth,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knowledge of learning environ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hanged. Fifth, in a class applying reflective thinking, an opportunity of being able to newly understand the pos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mselves was provided. As the resul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at class atmosphere could be changed by the change of themselves and in actual class setting, they felt joy of class by experiencing an image of the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class and engaged in school activity positive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