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Feeling of Happiness and the Status of Sibling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isabl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송주 이상연 안성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6권 제1호, 211~2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형제를 둔 아동과 일반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와 행복감 인식 수준을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소재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재학생, 총 2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동의 형제관계 조사에 Furman & Buhrmester(1985)가 제작한 형제관계척도(Sibl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 SRQ)를 박영애(1995)가 번역하고 최정선(2011)의 연구에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행복감 조사는 강영하(2008)가 개발하고 유선진(2011)이 아동의 발달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본 연구에서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이용하여 t-test, 이원변량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의 장애유무에 따른 형제관계 수준의 차이는 없었으며, 형제수준 하위영역별로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형제관계 수준은 장애유무와 종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형제의 장애 유무에 따른 전체 행복감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하위영역별로는 낙관주의와 친구관계에서 일반형제를 둔 아동이 장애형제를 둔 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행복감 수준은 장애유무와 출생순위, 장애유무와 성별, 장애유무와 종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형제에 대한 관계 개선과 행복감을 향상시키고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족 중심 치료서비스에 대한 기초자료가 되며, 사회적 지원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bling relationships and the perceived level of happiness between the sibling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57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located in Busan, Ulsan, and the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ibling relationships and in the sub-domain of siblings level whether having disabled siblings or not. As well,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disability and religion in the level of sibling relationships. Second, the siblings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feelings of happiness than the sibling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optimism and friendship than that of the sibling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well,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disability and birth order, child's gender and religion in the level of happiness. The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would improve the sibling relationships and a feeling of happiness, be the baseline data for understanding family members and family-centered care services, and help guide direction of social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DHD 학생을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태도 구성요인에 관한 연구
- 직업적 장애 선별과 고용 및 직업재활 서비스 지원 프로토콜 탐색
- 장애학생의 여가활동참여 실태 및 인식
- The Status and Challenges of Special Education in Nepal
-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를 대상으로 부모가 개입한 사회성 및 의사소통 기술 중재 연구 분석
- 어머니의 반응적 상호작용 중재가 발달지체 위험 유아와 어머니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장애·비장애 유아 어머니의「부모 참 역량」에 대한 비교 연구
- Reading Vocabulary Knowledge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in Special Primary Schools in Vietnam
-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경험 및 직무만족도에 따른 지원센터의 발전방향에 관한 질적 연구
- 유아특수교사의 전문성 발달(Professional Development)
- 특수교육보조인력으로서 공익근무요원의 특수교육지원 경험 및 지원 요구 고찰
- 장애형제를 둔 아동의 형제관계 및 행복감의 특성
- 인공와우를 착용한 청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활용에 따른 사회역량변화
- 반성적 사고를 통한 특수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변화 탐색
- 보편적 학습 설계(UDL)에 대한 통합 학급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실행에 관한 질적 연구
-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 장애 영·유아 교육기관의 가족지원 실태 조사
-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공학 연구동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